李대통령 공약, 박물관 건립 본격화... 江都 역사·문화적 가치 공론화 위해 7월 토론회·8월 학술세미나 등 예정 “국정과제 포함… 여야 합심” 강조
지난 1232년. 고려는 몽고의 2번째 침략을 피해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했다. 몽고에 맞서 고려는 39년간 강화도에서 웅거하며 저항했다.
당시 쓰이던 궁궐터는 아직 강화 고려궁지(高麗宮址)라는 유적으로 남아 우리 민족의 얼과 혼을 잇고 있다. 고려의 왕도(王都)로서 유적은 오롯이 이 곳 강화에만 남아 있다.
인천 강화군이 전국에서 유일한 고려 왕도(王都)의 역사적 위상과 문화유산의 가치를 높일 ‘국립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을 본격화하고 있다. 지역 안팎에서는 강화에 고려 왕도 유적이 있고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에도 담긴 만큼 정부와 여야 정치권이 강화의 고려박물관 건립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6일 군 등에 따르면 오는 7월2일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국립강화고려박물관 건립 필요성 토론회’를 개최, 강도(江都)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과 가치를 공론화할 계획이다. 국민의힘 배준영 국회의원(중·강화·옹진) 주관으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는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이형우 인천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등이 참여해 기조 강연과 주제 발표 및 종합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군은 또 8월부터는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구성과 함께 ‘강화-개성 LED(발광다이오드) 사진 전시회’, ‘고려황도 유물전시회’, ‘강화 고려 역사성 학술세미나’ 등을 열고 강화에 고려박물관 건립 당위성을 알린다. 여기에 문화체육부와 국립중앙박물관에 건의서를 내는 것은 물론 국회 및 정부 관련 기관을 찾아 국립박물관 건립에 나설 방침이다.
박용철 강화군수는 “고려시대의 역사적 위상과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체계적인 보존·연구·전시를 위해 국립박물관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옛 수도의 역사성이나 문화적 특이성을 반영한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지역 분관은 경주·김해·진주·대구·익산·나주·전주·광주·공주·부여·청주·춘천·제주 등 13곳이다. 고구려 중원 문화를 바탕으로 한 충주박물관도 건립 중이다. 하지만 삼국시대 이후 수도로 기능했던 지역 중 국립중앙박물관 분관이 없는 곳은 강화가 유일하다.
앞서 군은 인천시에도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 지원을 요청했고, 최근 다양한 유치 홍보사업 및 범국민 서명운동과 함께 박물관 건립을 위한 공동 결의를 하기도 했다. 이 공동 결의에는 인천지역 군수·구청장협의회와 강화군의회, 인천박물관협회가 참여했다. 또 지난 19일에는 인천시의회도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을 정부에 촉구하는 건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이 밖에 인천문화유산돌봄센터와 강화지역사회보장협의체, 강화읍면 이장단과 원로자문회의 등 다양한 민관 단체들도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에 주민들의 염원이 큰 만큼 중앙 정부는 물론 지역 정치권까지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 대통령이 최근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시 강화지역 공약으로 ‘강화고려박물관 건립 지원’을 담아냈기 때문이다. 강화 고려박물관 건립이 국정과제 등으로 담는 등 범정부 차원에서 현실화하려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인천지역 국회의원 12명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또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국립강화고려박물관 유치’를 공약에 담은 만큼,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의 동참도 이뤄지는 등 정당을 뛰어넘어 여야 정치권 모두가 지역 현안 해결에 힘을 모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영태 인하대학교 정치외교학 명예교수는 “여야가 각각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해 정치적 유불리를 따질 것이 아니라, 인천의 발전이나 주민을 위해 공동 목표를 중심에 두고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혹시라도 민주당은 자칫 국립박물관 건립 성과를 국민의힘이 차지할 것을 우려해 뒷걸음질 쳐서는 안된다”며 “또 국민의힘은 단순히 표심 따내기에 급급해 하지 말고 지역 발전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