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3년 결산]
민선 8기 경기도가 출범과 동시에 ‘민생경제 회복’을 도정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도는 코로나19 이후 복합 경제위기와 글로벌 공급망 불안, 국제 정세 변화로 인한 대외 변수 속에서도 지역 현장의 위기를 직접 체감하며 대응했고, 미래 산업 기반을 체계적으로 다져가는 전략적 행정을 펼쳐왔다.
24일 도에 따르면 전통시장·상점가·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경기 살리기 통 큰 세일’ 등 경기 활성화 사업이 전방위로 전개됐다.
지난해 의정부행복로상점가, 오산오색시장 등 상·하반기 348곳에서 지역축제와 연계한 플리마켓과 페이백, 경품 이벤트 등 소비촉진 이벤트를 열었다. 상권 활성화 효과를 체감한 시장들의 참여가 늘어나며, 올 상반기에만 406곳에서 ‘경기 살리기 통 큰 세일’을 진행 중이다. 사업비도 지난해 40억원에서 올해 100억원으로 2.5배 확대됐다.
또 도가 전국 최초 도입한 ‘소상공인 힘내GO카드’는 도내 소상공인 3만명에게 500만원 한도의 운영자금을 신용카드 형태로 지원하고 있다. 6개월 무이자, 세액공제, 연회비·보증료 면제, 최대 50만원 캐시백까지 제공하는 파격적 조건으로 소상공인의 금융 사각지대를 정책으로 메웠다는 평가다.
지난해 트럼프 2기가 출범하면서 관세 문제가 불거지자, 김동연 지사는 지난 3월 평택항에서 비상경제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자동차·부품 수출기업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응책을 발표하는 등 선제 대응에 나섰다. 즉시 500억원 규모의 관세 피해 중소기업 특별경영자금, 수출기회 바우처, 지방세 납부기한 연장, 물류비 지원, 일대일 컨설팅을 패키지로 제공했다.
김 지사는 임기 내 100조원 투자유치를 공약했는데, 현재 약 88%에 달하는 87조7천억원을 유치하며 목표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도는 단기 회복을 넘어 중장기 성장 기반 구축에도 과감히 투자하고 있다. ▲화성·평택·판교를 축으로 한 첨단 모빌리티 클러스터 ▲경기시흥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판교를 허브로 20개 지역 창업혁신공간 조성 ▲경기 남북부 AI 캠퍼스 구축 등이다.
김 지사는 “위기의 시대, 민생과 미래를 함께 지켜낸 ‘실사구시 도정’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민선 8기 경기도 대표정책 ‘기회소득’…‘기회’를 정책으로 만들다
https://kyeonggi.com/article/20250623580307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