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선거가 정청래 의원과 박찬대 전 원내대표 간 양강 구도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직 사퇴로 치러지는 이번 전당대회는 167석 거대 여당의 향후 방향을 결정짓는 분기점이자, 친명계 내부 경쟁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18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박 전 원내대표는 이르면 오는 22일 공식 출마를 선언할 예정이다.
박 전 원내대표는 진작 결심을 굳혔지만 이 대통령이 해외를 방문하는 중이라는 점을 고려해 출마 선언을 며칠 뒤로 미룬 것으로 전해졌다. 정 의원은 앞서 15일 일찌감치 출마를 공식화한 바 있다.
정 의원은 특유의 전투적 화법과 강성 지지층을 바탕으로 이기는 정당을 앞세운 선면성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그간 유튜브, SNS를 중심으로 높은 대중 발언력을 보여온 그는 ‘강한 여당, 실천하는 정당’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반면 박 전 원내대표는 당대표 대행 경험과 합리적 이미지를 앞세워 안정적 지도체제를 강조하고 있다. 그는 개혁 입법 추진과 국정 운영 파트너로서의 역할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두 인사 모두 이 대통령과 가까운 친명계 인사로 분류되지만, 계파 내 세부 노선과 리더십 스타일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당내 친명 주류와 중간지대 표심이 승부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재명 정부 초반의 안정적 국정 운영을 위해 여당의 역할이 결정적으로 중요해진 상황”이라며 “당대표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입법 전략과 국회 운영 방향도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초선 의원은 이날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정청래 의원의 추진력과 대중성에 대한 기대가 있는 반면, 박찬대 의원의 온건하고 안정된 리더십이 당내 균형을 잡는 데 유리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며 복잡한 당내 기류를 전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8월2일 임시 전국당원대회를 열고 당대표 및 최고위원을 선출한다. 이번 선거는 이 대통령의 당대표직 사퇴에 따른 보궐선거인 만큼, 새 당대표 임기는 잔여 임기인 1년이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의 최고위원직 공백을 채울 보궐선거도 함께 치러진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