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강국’을 핵심으로 내세우는 새 정부의 기조에 경기도가 선도에 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예술 및 관광 분야에서 중장기적이고, 질적인 성장을 이룬다면 경기도는 말 그대로 ‘기회의 땅’이 될 것입니다.”
황대호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수원3)이 지난 17일 열린 문화 분야 언론 간담회에서 “이번 추경에서 공공기관 출연금 74억5천만원 증액 의결은 정부의 ‘K-컬쳐’ 육성 정책에 경기도의 적극적인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도의회는 지난 13일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여야 만장일치로▲경기문화재단 운영(28억원) ▲한국도자재단 운영(15억원) ▲경기관광공사 운영(21억원) ▲경기콘텐츠진흥원 운영(7억5천만원) ▲경기아트센터 운영(3억원) 등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황 의원은 “이재명 정부는 출범부터 콘텐츠로 미래 산업을 창출하는 소프트파워 ‘문화강국’ 대통령을 표방하고 있다”며 “이는 기업과 연계해 현장의 사람들에게 ‘날개’를 달아주겠다는 것으로 경기도는 정부의 기조에 맞춰서 우선순위로 재편하면 국정과제의 선도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 위원장은 ▲문화·콘텐츠 ▲관광 두 분야를 경기도가 선도할 영역으로 손꼽았다.
이어 경기도가 선점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정책사업으로 ▲독립영화 생태계 등 문화예술인 창작 지원 ▲콘텐츠 인큐베이팅 ▲마케팅 지원 및 정책 금융 사업 ▲DMZ 생태자원의 독자적인 기반 활용 등을 제안했다.
그는 문화예술 활성화로 특히 공공기관의 전문성과 자율성, 독립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황 위원장은 “행정 및 집행기관은 문화재단 등 공공기관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협력’하되 ‘간섭’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예를 들어 현재는 하나로 합쳐진 경기도의 박물관 사업을 중앙처럼 독자적인 기관으로 분리하는 방향 등이 있다”고 말했다.
또,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나 크리에이터 양성에 있어서도 매년 하는 의례적인 공모사업이 아닌 전문 기관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 등을 중장기적으로 육성하는 등 양보단 질적인 성장을 늘리거나, 문화재단이 경기도 버전의 예술인 인증사업을 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