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 지원 초보 농업인 ‘열정의 공간’ 제공... 최대 20년 임대 가능 ‘젊은바람’
“농업, 어렵지 않아요. 농어촌공사 믿고 뛰어드세요.”
하루 10시간, 소중한 주말마저 반납하고 토마토와 오이 키우기에 청춘을 투자하고 있는 강전욱(35), 유호근(33), 남정수(30) 대표. 17일 안성 공도읍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 현장에서 만난 이들은 각자의 농사 공간에서 농작물을 키우며 성장하고 있다.
청년 농업인 3인방은 올해로 3~4년 차 초보 농업인이지만, 보다 좋은 품질의 농작물을 수확하기 위해 오늘도 팔을 걷어붙인다.
맏형인 강전욱 대표는 먼 길을 돌아 지금의 농부 타이틀을 얻었다. 과거 농산물유통센터에서 근무하며 농산물을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왔고, 농가 대표들과 소통하며 농업의 꿈을 키웠다. 강 대표는 “사업이 하고 싶은데, 내가 부지런히 움직이면 농작물은 거짓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성실함을 무기로 농작을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3인방 중 유일하게 토마토 농사를 짓고 있는 유호근 대표의 활력은 ‘책임감’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유 대표는 “결혼을 해 지켜야 할 가정이 있다. 가정에 대한 책임감은 곧 농작물에 대한 책임감으로 이어진다. 이름을 내걸고 하는 사업인 만큼, 모든 것들에 책임져야 한다는 일념”이라고 전했다.
막내지만 내공이 탄탄한 남정수 대표는 꾸준히 질문하고 본인에게서 답을 찾아오며 농업인으로 성장하고 있다. 남 대표는 “직장인 시절 ‘평생 일할 수 있는가’ 스스로에게 질문했고, 그 답을 농업에서 찾았다. 농작 실패나 성공 역시 커가는 농작물로부터 정답을 찾아가는 중”이라고 했다.
이들의 꿈에 대한 열정에 불을 더한 곳이 있다. 바로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다.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사업은 2023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 주관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으로, 지난해 공사에서 시행한 12개소 중 안성지역 스마트팜 3개소가 전국 최초로 준공돼 청년 농업인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공사는 농지은행의 공공임대용 비축농지에 스마트팜을 설치한 후 청년 농업인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농지를 임대한다. 농지 및 시설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데다 1인이 최대 20년(최초 10년, 추가 연장 10년)간 임대가 가능해, 청년 농업인들이 안정적으로 농업에 자리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당 사업은 스마트팜 혁신밸리 청년창업 보육센터 교육과정 수료자(이번 연도 수료 예정자 포함)이거나 경영실습 임대 농장 운영 경력 2년 이상인 자, 농업계 고등학교·대학교 졸업생 등 영농경력 요건을 만족한 18세 이상~39세 이하 청년 농업인 중 주민등록 소재지가 해당 농지로부터 직선거리 30㎞ 이내면 신청이 가능하다.
이러한 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의 ‘비축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사업’은 급속도로 진행 중인 ‘농업 고령화’에 젊은 바람을 불어넣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공사 경기본부는 단순히 농지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청년 농업인이 현장에서 겪게 되는 애로사항을 듣기 위한 자리를 마련하며 이들이 안정적으로 농업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지난 4월에도 스마트팜 청년 농업인 현장 소통간담회 등을 진행, 청년 농업인이 전문가들과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본부는 연내 양평에 2개소를 포함, 도내 비축 농지 임대형 스마트팜을 추가로 추진해 더 많은 청년 농업인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김종성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장은 “경기지역은 전국에서 청년농이 가장 많은 지역”이라며 “청년농 수요가 많은 임대형 스마트팜사업을 매년 시행해 더 많은 청년농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농어촌공사는 농지은행을 통해 청년 농업인 외에도 생애주기에 따라 각 단계에 놓인 농업인에게 맞춤형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청년 농업인에게는 전업농으로 성장할 수 있는 영농기반 마련을, 경영위기에 빠진 농업인에게는 회생의 기회를, 은퇴를 앞둔 고령 농업인에게는 노후소득 보전기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사업을 지원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