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케임브리지대 도서관 자료 내에서 발견 1884년 작성 추정…“희귀하고 귀중한 자료”
갑신정변의 주역인 김옥균(1851∼1894)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편지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발견됐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역사학계는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에서 한국·일본 자료를 전담하고 있는 오지연(영국명 지연 우드) 사서가 김옥균이 영국 외교관에게 보낸 서한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편지에 ‘개국사백구십삼년 삼월념일’이라고 적혀 있어, 1884년 4월15일에 쓴 서한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편지를 받은 사람은 주일영국공사, 주중영국공사 등을 지내며 영국에서 동아시아 외교를 담당한 해리 파크스 (1828∼1885)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서한은 케임브리지대 도서관의 해리 파크스 아카이브에 1세기 이상 보관돼 왔다. 전문이 한글로 쓰였으며 한글 옆에 영문 번역이 흐릿하게 적혀 있다.
역사학자들은 김옥균의 친필 서한일 가능성이 높으며 연구 가치가 큰 자료라고 설명했다.
자료를 검토와 자문을 진행한 김종학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연합뉴스를 통해서 "서한에 나오는 내용, 필체 등을 볼 때 김옥균이 작성한 것이 확실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김옥균이 1884년 5월 일본에서 돌아오기 전에 작성한 서한으로 추정된다"며 "청나라의 연호가 아니라 개국년도로 쓴 점은 독립을 향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초대 주한 영국 총영사를 지낸 윌리엄 애스턴(1841∼1911)을 언급하며 "김옥균이 평소 잘 지내던 애스턴을 통해 파크스가 (1884년 4월) 조영수호통상조약 비준을 위해 입국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보낸 서한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편지에는 애스턴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이는 ‘아수돈 씨’라는 표현이 쓰였다.
김옥균이 기록한 갑신정변 관련 기록인 '갑신일록'(甲申日錄) 등을 연구해온 김흥수 홍익대 교양과 교수도 김옥균의 친필 서한일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다.
김흥수 교수는 공개된 사진 등을 근거 들며 "가로획을 가운데가 아닌 아래쪽에 긋는 김옥균의 필체 특징과 서한 내용, 시기적 상황 등이 일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옥균이 왜 이런 편지를 썼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나올 수 있다"며 "향후 영국 외교 문서 등 관련 자료를 확보해 추가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케임브리지대 도서관 측은 김옥균의 한글 서신에 대해 “희귀할 뿐 아니라 극심한 정치적 혼란기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학자들에게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