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분 시의원 “노인 디지털 교육, 중요… 삶의 기본권 지켜야” [인천시의회 의정24시-의정MIC]

인천시의회 유승분 시의원(국민의힘·연수3). 인천시의회 제공
인천시의회 유승분 시의원(국민의힘·연수3). 인천시의회 제공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공지능(AI) 시대는 멀지 않았습니다. 어르신들이 생활에서의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도록 시니어 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인천시의회 유승분 시의원(국민의힘·연수3)은 급격히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이 고령층에게 또 다른 소외의 벽이 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디지털이 익숙치 않은 노년층에게 일상 곳곳이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23년 서울디지털재단 조사에 따르면 65~74세 고령층의 키오스크 이용 경험률은 50.4%, 75세 이상은 19.1%에 그치고 있다. 기계 조작을 몰라서 아예 포기하거나, 뒤에 있는 사람들의 눈치로 인해 사용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환경은 편리한 만큼 위험성도 크다. 최근에는 A 통신사 유심 개인정보 유출이 무려 2천600만건 이상 발생했고, 고령층 어르신들의 경우 디지털 사기나 피싱, 스미싱과 같은 금융 범죄에 굉장히 취약하다. 유 시의원은 “어르신들에게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알려드리는 것을 넘어 디지털 환경에서 자신을 지키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디지털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천시의회 유승분 시의원(국민의힘·연수3). 인천시의회 제공
인천시의회 유승분 시의원(국민의힘·연수3). 인천시의회 제공

 

그러나 인천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관련 예산은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22년 24억3천만원에서 2024년 9억4천만원으로 무려 60% 이상 줄었고, 올해도 10억3천만원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유 시의원은 “예산 삭감의 가장 큰 이유는 중앙정부에서 내려오는 국비 지원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인천 지역별 디지털 교육의 기회가 불균형해지고, 정작 도움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적시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 시의원은 “인천시는 ‘예산이 없어서 못한다’는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어르신 맞춤형 디지털 교육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디지털 배움터와 생활문해학습관 등의 교육시설을 추가 지정하고, 현장의 디지털서포터즈 인력도 대폭 늘려 어르신들이 실제 생활 속에서 쉽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유 시의원은 “디지털 교육은 단순 기술 습득을 넘어 어르신들의 삶의 기본권을 지키는 중요한 복지 정책”이라며 “모든 어르신들이 디지털 세상에서도 당당히 주인공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