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과 멕시코 한인이주 120주년을 맞아 수원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면수’의 삶을 조명하는 책이 발간됐다.
고려학술문화재단 이사장인 박환 수원대 사학과 명예교수가 ‘필동 임면수 평전’을 출간해 그동안 연구가 활발하지 않아 잊혀졌던 임면수의 민족운동을 조망했다.
임면수는 구한말 수원지역에서 계몽운동을 하고, 1910년대에는 만주에서 항일운동을 활발히 전개했던 인물이다. 수원출신의 만주지역 독립운동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임면수의 민족운동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임면수는 일본어에 능해 당시 편안하고 부유한 삶을 보장받았음에도 국내외에서 활발한 독립운동을 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위해 만주로 망명할 때 자신의 전재산을 삼일학교에 기부해 지금의 삼일중, 삼일고, 삼일공고, 매향여자정보고 설립에 도움을 준 인물로 알려져 있다.
1873년 수원시 성안 보시동(북수동)에서 태어난 임면수는 실용적인 학문에 관심을 갖고 수원 양잠학교에 입학한 뒤 구한말 수원지역의 대표적인 근대학교인 삼일학교의 설립에 기여하고 교감·교장을 역임했다. 1904년부터는 수원에서 멕시코 이민 모집 대리점을 운영하며 한인들의 멕시코 이주를 도왔고, 일제강점기에는 만주로 망명해 신흥무관학교의 전신인 양성중학교의 교장을 맡아 독립군을 양성하기도 했다. 이후 무장 독립운동 단체인 부민단의 결사대 소속으로도 활동했다.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됐다. ▲제 1장.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필동 임면수의 삶과 꿈 ▲제 2장. 잊혀진 신흥무관학교의 중심인물 임면수 ▲제 3장. 임면수의 만주지역 독립운동과 객주업 ▲제 4장. 임면수의 모집으로 멕시코와 쿠바로 간 수원 사람들이다.
책은 ‘황성신문’·‘신한민보’·해외의한국독립운동사료·쿠바 아바나지방회의 대한인국민회 회원 증명권 명부 등 철저한 자료를 기반으로 임면수의 생애를 정리했으며, 다양한 사진을 실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특히 책의 3장에는 임면수의 부인인 ‘전현석’의 독립운동에 대해 자세하게 실었다. 당시 북수원의 대표적인 부잣집 딸이었던 전현석은 임면수를 따라 만주에 가 여관 ‘의성잔’을 열어 독립군의 연락을 도우며 온갖 잡일을 마다하지 않았다. 저자는 독립운동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전현석의 삶을 주목해 임면수의 아내이자 여성 독립운동가로서 그의 활동을 조명했다.
박 교수는 “우리나라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있다”며 “앞으로도 잊혀진 독립운동가를 새롭게 부활시키는 작업들이 지속적으로 이뤄져 그들의 생애와 활동이 복원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