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청 청사 이전은 없던 일로…현 부지에 증측으로 결론

市, 증축안 최종수용, 이전 백지화… 효율성 감안, 필요 수준으로 공사
교육지원청 청사 건립에 영향 전망

파주시청 전경. 김요섭기자
파주시청 전경. 김요섭기자

 

파주시가 청사 이전 관련 현 부지 증축안을 최종 수용키로 했다.

 

앞서 시는 시민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신청사 건립 공론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데 이어 시민참여단 100여명이 꾸려져 신청사에 대한 공론회작업을 벌인 결과 현 청사 증축, 운정신도시로 이전, 역세권 중심으로 청사 신축 등 3가지 권고안을 제출(본보 2024년 11월10일자 인터넷)했었다.

 

김경일 시장은 11일 청사 이전 관련 “효율성과 실용성 등을 감안해 기존 청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꼭 필요한 수준으로 증축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사실상 청사를 이전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김 시장의 입장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전날 열린 제257회 시의회 정례회에 참석해, 목진혁 의원의 시정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김 시장은 “증축공사기간 동안 행정공백이 없고 막대한 이전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금촌권역의 역사성과 경제성 등도 감안하겠다”며 “추후 세부 계획이 나오면 시의회에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목 의원은 “시청 이전에 대한 시의 행정은 한마디로 ‘오리무중’이다. 그동안 토론회, 설명회, 용역, 설문조사 등 청사이전 공론화를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이전에 대해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묻고 “(시장이) 청사 이전 추진을 밝힌 순간부터 금촌권역 시민들의 가슴에 돌덩이가 박혔다. 시청은 현재 부지에 증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는 김 시장이 공약으로 “신청사를 재개발지구인 C3블록으로 이전하겠다. 시민참여단을 구성해 시민과 함꼐 추진하겠다”고 약속하고 현 시청 부지에는 서울대병원 등 대학병원급 의료기관을 유치하겠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이다.

 

목진혁 파주시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파주시의회 제공
목진혁 파주시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파주시의회 제공

 

목 의원은 이어 “현 부지 증축은 수천억원의 이전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청사는 주변 공간을 포함할 경우, 이미 증축에 필요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면서 “청사를 이전할 이유가 없다. 현 부지에 증축해 금촌경제를 지키라”고 요구했다.

 

시청 청사 이전이 사살상 백지화되고 현 부지 증축으로 결론이 나면서 교육지원청 신청사 건립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교육지원청 측은 “오래 전부터 신청사 건립을 추진, 현재 타당성 용역 중”이라며 “행정기관간 연계성에 대한 필요성 검토가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목 의원은 “시장 답변은 시청 이전 검토를 공식적으로 중단하고 현 청사 증축을 행정기조로 삼는 것으로 환영한다”며 “기존 공간과 건물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증축 일정과 예산을 신속히 짜 시민과 시의회에 보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 파주시청 청사는 1976년 본관동과 별관동 등으로 지어진 후 50년이 지났다.

 

잦은 개·보수가 필요하고 사무공간이 협소해 청사 주변 상가에 사무실이 분산되면서 업무효율이 낮아지고 민원인 불편이 커 신청사 건립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 관련기사 : 파주 신청사 공론화결정 한달 앞으로…지역사회 '초미의 관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1110580175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