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근로자들 “MBK로 인한 생존 위협…대통령이 나서달라” 공개서한

KakaoTalk_20250605_195325737
경기도에 위치한 한 홈플러스 전경. 경기일보DB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와 관련해 대규모 구조조정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홈플러스 노동자들이 대통령에게 정부 차원의 개입을 촉구했다. 이들은 “검은머리 외국인 먹튀 사모펀드 MBK로 인해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기업회생을 유도한 MBK파트너스의 책임을 강하게 지적했다.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5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낸 공개서한에서 “3월4일 자정 직후 접수된 기업회생 신청이 단 11시간 만에 개시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특히 조사위원으로 지정된 삼일회계법인이 MBK 김광일 부회장이 근무했던 곳이라는 점에서 공정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경영 정상화보다는 부동산 매각 등 단기 이익에만 치중해 왔으며, 결국 이같은 구조가 기업 회생으로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특히 MBK가 주도하는 회생 방안은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영계획이 아니라 폐점과 자산 분할 매각이라는 단기적 이익 추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국민연금이 투자한 9천억원의 노후자금 역시 회생절차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다며, 이 문제는 단순히 기업의 문제가 아닌 국민 전체의 이해가 걸린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노조는 “사측이 전체 126개 매장 중 36개 점포의 폐점을 추진 중”이라며 “학계 분석에 따르면 폐점 시 직접고용 노동자와 인근 상권까지 포함해 최대 33만 명이 실업 위기에 놓일 수 있고, 사회경제적 손실도 약 10조원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대형마트 점포 한 곳 폐점 시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손실은 약 2천700억원으로 추산되며, 이는 단순한 기업 구조조정을 넘어 지역경제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노조는 그동안 차기 정부에 직·간접적으로 역할을 요청해왔으며, 지난 5월30일에는 노동자와 시민 10만 명의 서명을 모아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총괄본부장에게 전달했다고 밝혔다. 또한 우원식 국회의장이 MBK의 책임 회피를 지적하며 국회의 연대를 약속했고, 5월 1일 노동절 국민대회에서는 민주당 민병덕 을지로위원장이 이재명 대통령과의 연대를 약속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고려아연 노조도 MBK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지역사회 피해를 경고한 바 있다. 고려아연 문병국 노조위원장은 “MBK의 악의적 M&A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와 국회가 나서야 한다”며 대응을 촉구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