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경찰의 경호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대통령으로 당선된 뒤 대통령경호처로 경호 업무가 이관되는 일반적인 절차와는 다른 이례적인 상황이다.
4일 경찰청은 언론 공지를 통해 “대선 후보 시 운용되던 전담 경찰경호대가 기존 경호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 당선인이 되면 후보 시절의 경찰 경호는 해체되고 경호처가 전담하게 되지만, 이 대통령의 경우 이날 인천 자택을 나서는 장면부터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하는 일정까지 경찰과 경호처가 함께 근접 경호를 수행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 같은 합동 경호 배경에는 대통령경호처 기존 수뇌부에 대한 이 대통령 측의 불신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당시 이를 저지하는 데 관여했던 경호처 인사들이 일부 잔류하고 있는 만큼, 해당 인물들에 대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대통령은 경호처가 제공한 방탄 차량을 이용했으며, 경호처의 근접 호위도 받았다.
경호처는 이날 오전 7시 이 대통령에게 정식으로 경호 업무 개시를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호처 측은 내부 인사 문제에 대한 의구심이 해소되면 정상적인 경호 체계를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경호처와 경찰 간의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실제로 경호처는 이날 이 대통령의 취임식 경호 업무에서 서울경찰청 직할의 22경찰경호대를 배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22경찰경호대는 평소 대통령 행사 시 검문·검색, 행사장 거점 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해 왔다.
경찰 내부에서는 이번 배제 조치가 윤 전 대통령 체포를 저지했던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를 받는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 라인이 주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앞서 22경찰경호대는 윤 전 대통령 체포 당시 경호처가 경찰 101·202경비단 등과 함께 체포 저지에 나서달라고 요청했지만 이를 거부한 바 있다.
경호처 관계자는 22경찰경호대 배제 배경에 대해 “경호 인력 운영은 보안 사항이라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