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주요 인사…김민석·강훈식·이종석 등 유력 인수위 없이 취임 직후 정부 출범
제21대 대통령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새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로 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연합뉴스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 후보는 국무총리에 김 최고위원,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강훈식 의원, 정책실장에는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4선 의원인 김 최고위원은 서울대 총학생회장과 전국학생총연합 의장을 지낸 '86 운동권' 출신으로, 지난 20대 대선 때부터 이 후보 선대위의 요직을 맡아온 친명(친이재명)계 핵심 인사로 분류된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2022년 이 후보 선대위 전략기획본부장을 맡았으며 이번 대선에서는 선대위 상임공동선대위원장으로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90년대 운동권 출신인 강 의원은 민주당의 대표적인 전략통으로 분류되는 인물로, 비교적 계파색이 짙지 않은 인사로 평가된다. 강 의원 역시 2022년 대선 당시 이 후보 캠프의 전략기획본부장을 맡았다.
정책실장에 내정된 이 원장은 이 후보가 경기도지사로 재임하던 당시 경기연구원 원장을 지냈고, 이 후보의 대표 정책인 '기본소득'의 밑그림을 그린 인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새롭게 출범할 내각의 외교‧안보 라인에는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과 김현종 전 국가안보실 2차당, 민주당 위성락 의원 등이 배치될 것으로 관측된다.
대통령실 정무수석에는 이 후보의 핵심 측근으로 불리는 '7인회' 멤버인 김병욱 전 의원이 거론되고 있으며, 민정수석에는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장을 지냈으며 이 후보와 사법연수원 18기 동기로 알려진 오광수 변호사 등이 언급된다.
한편, 이 후보가 측근들과 논의를 거쳐 구상한 이 같은 내용의 인선은 오늘(4일) 중으로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전임 대통령의 파면 결정으로 인수위원회 없이 취임과 동시에 출범해야 하는 새 정부 내각의 최우선 과제는 국정 공백의 최소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