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가 동서울변전소 증설사업 관련 한국전력공사 측과 갈등을 빚는 가운데 발목잡기가 자칫 해결국면에 역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전이 변환설비 증설사업 지체에 따른 비용 발생을 감수하면서 당초 계획을 1년6개월 연기 등 고육책을 마련하는 등 여건이 일부 변해서다.
27일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이날 전기위원회를 열고 제11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확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따른 전력수요와 발전 설비 전망을 바탕으로 2024~2038년 15년 간 적용되는 장기 송·변전설비 세부계획이다.
이번 계획에는 지난 10차 장기 송·변전 설비 계획에 포함됐던 호남~수도권 초고압 직류 송전(HVDC)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계통을 재구성하고 반도체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의 전력 수요를 반영한 전력 공급 인프라를 확충하는 계획이 담겼다.
이런 가운데 최근 변환설비 증설 인허가를 놓고 하남시의 발목잡기로 장기화 국면이 현실화되면서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 준공시기를 당초 내년 6월에서 2027년 12월로 1년 6개월 연기한 것으로 파악됐다.
건설사업 지연 등 변경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 준공 시기를 조정한 셈이다.
동해안 울진에서 하남 동서울변전소까지 280㎞에 이른 초고압 직류 송전망(HVDC) 구축사업이 예상 밖으로 하남시의 인허가 처리 지연이 노골화되면서 선택한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시가 주민 반대 등의 이유를 들어 변환설비 증설 사업을 사실상 과도하게 가로막고 있지 않느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그러면서 한전은 관련 사업을 위해서는 오는 2038년까지 72조8천억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10차 계획(56조5천억원)보다 16조3천억원(28.8%) 증가한 규모로, 지중송전선로 증가에 따른 송·변전설비 투자 규모 확대 등 대내외적 여건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 시기를 늦춘데는 사실상 하남시의 인허가 처리 지연이 한 몫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렇지만 증설 사업이 하루 빨리 추진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절실한 만큼, 한전의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하남시도 전향적 자세로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의 필요성을 인지, 결단해주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