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변국들 코로나19 재유행... 긴장의 끈 더 조여야

image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검사를 위해 대기하던 인파.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경기일보DB

 

해외 코로나19 재유행이 확산 조짐이라 한다. 중국·홍콩·대만 등 중화권과 태국·싱가포르 등 동남아 지역이다. 최근 홍콩에서는 코로나19 관련 사망자가 30여명이나 나왔다. 코로나19 확진 비율도 13.66%로 높아졌다. 태국에서도 지난 11~17일 코로나19 확진자가 3만3천30명이었다. 전주 대비 2배 이상이다. 모두 한국과 인적 교류가 많은 지역이다. 이들 지역과의 인적 교류는 모두 인천국제공항을 통과한다. 지리적 거리는 있지만 주변국이나 마찬가지다. 특히 인천은 해외 감염병 유입의 최일선이라는 점에서 더욱 긴장해야 한다.

 

인천에서도 코로나19 관련 입원 환자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지난 1월 1주 차에 16명이 발생했다. 날씨가 풀린 5월 들어서도 이미 1주 차에 10명에 이르는 등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시는 어르신 등 고위험군의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함께 해외 유입 차단 등에 집중하고 있다. 인천 65세 이상 어르신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비율은 올해 들어 47.8%에 이른다. 지난해 41.1%보다 6%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2020년 1월 인천국제공항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후 3년 넘게 전국민의 일상이 무너지는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개인은 물론 국가 경제까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사회적 삶의 양식까지 뒤흔들어 놓았다. 이제 와 생각하면 그 시절을 어떻게 견뎌냈나 싶다. 그래서 코로나19 재유행만큼은 다시 마주하고 싶지 않은 것이 우리 모두의 심정이다.

 

올 4월 중순 이후 전국의 코로나19 입원환자 수는 주 단위로 100~200명이라고 한다. 아직은 소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전문가들도 아직 해외 코로나19 확산 원인이 확실치 않아 한국에 미칠 영향을 섣불리 예단하기는 어렵다는 의견이다. 그러면서도 코로나19의 감염성과 건강 취약계층 위험성을 고려하면 경각심을 높여야 할 때라고 한다. 특히 주변국에서 감염자가 갑자기 늘어나면 이 같은 소강 국면도 바로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날씨도 변수다. 더운 날씨에 문을 닫고 에어컨을 가동하면 감염 리스크고 더 커진다. 6월 이후의 국내 코로나19 재유행을 우려하는 전문가들 의견도 있다. 인천시도 코로나19 관련 환자 추이를 관리하면서 백신 접종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백신 추가 확보도 과제다. 비상 상황에 대비, 대규모 감염병 대응 매뉴얼도 다듬어야 할 것이다.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시민들의 감염병 예방수칙 실천도 중요하다. 코로나19에 관한한 과잉 대응이 더 낫다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