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대선 TV토론, 계엄·연금·기후 놓고 정면 충돌… 이재명·김문수 설전 격화 [6·3 대선]

이재명 "내란 사태 책임 물어야" vs 김문수 "공직자 자격 없어"
이준석, 정치교체·연금개혁... 권영국, 기후세·공공의료 강화”
국민연금·의료개혁·기후 해법 놓고 각 후보 '정책 대립' 선명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6·3 대선을 열흘 앞두고 23일 서울 여의도 KBS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차 대선 TV토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사회 통합'과 '지도자 자격'을 놓고 격한 공방을 벌였다.

 

이날 토론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 계엄과 사회 갈등, 연금 개혁, 기후위기 대응 등을 두고 각 후보 간 첨예한 시각차가 부각돼 대립 구도가 선명해졌다.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도덕성과 자격을 집중 겨냥했다. 그는 "이재명 후보는 최소한의 인륜과 청렴성이 결여된 인물"이라며 대장동·백현동 의혹, 법인카드 유용, 가족 간 갈등 등을 거론했다. 이어 "가정조차 통합하지 못하는 사람이 어떻게 국가 통합을 말할 수 있느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또 "경기도지사 재임 당시 청렴도 지수가 떨어졌고 현재도 다수 재판에 연루돼 있다"며 "이런 인물이 대통령이 된다면 공직사회 전체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우리 사회 통합을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헌정질서를 파괴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사태"라고 반박했다. 그는 김문수 후보가 윤 전 대통령과 극우 세력, 정광훈 목사와의 관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지적하며 "이들과의 단절 여부를 국민 앞에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맞섰다.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격해지는 토론을 보며 "진흙탕 싸움이 시작되고 있다"고 일침했다. 그러면서 김문수 후보를 향해 윤 전 대통령이 주장한 부정선거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물었다. 권 후보는 "최근 5년간 제기된 150건의 부정선거 관련 소송에서 모두 선관위가 승소했다"고 했고, 김 후보는 "부정선거 의혹은 윤 전 대통령의 주장일 뿐, 나는 그런 문제를 제기한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계엄 해제 표결과 관련해선 이재명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충돌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준석 후보가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한 것을 두고 "결국 계엄 해제에 반대한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이준석 후보는 "음모론적 시각"이라며 "당시 국회 내 상황을 민주당 의원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했고 170명 가까이 입장했다는 사실을 확인한 뒤 바깥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다"고 설명했다. 이준석 후보는 보수진영 단일화와 관련한 질문에선 "단 한 번의 예외도 없이 단일화에 관심 없다고 밝혀왔다"고 분명한 입장을 전했다.

 

노인 빈곤과 자살 문제에 대해서 이재명 후보는 연금 개혁 필요성을 강조하며 최근 합의된 연금 개혁을 진전이라 평가했다. 향후 기초·국민·퇴직연금을 포함한 구조 개혁과 공공의료 강화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후보는 의료진·환자 의견을 반영해 '미래의료위원회'를 설치하고 의대 증원 및 필수의료 정책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연금 개혁에 있어선 청년층 의견을 반영한 2차 구조개혁을 공약했다.

 

이준석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비과학적이고 밀실 합의"라고 비판했고, 연금 개혁에 대해선 "세대 갈등을 조장한다"며 신·구 연금 분리를 강조했다. 권영국 후보는 연금·의료 개혁 관련해 ▲무상 돌봄·간병 확대 ▲군 복무·출산 연금 인정 ▲기초연금 70만 원 인상 ▲의료비 상한제와 공공병원 확충 등을 약속했다.

 

기후위기 대응 관련해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 산업의 대대적 전환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탄소국경세 등 국제 규범 대응과 RE100 산단 조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문수 후보는 원자력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원전 생태계를 무너뜨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원전을 중심에 두고 재생에너지를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준석 후보는 비과학적 환경주의를 비판하며 "과학과 상식, 국제 기준에 기반한 합리적 기후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영국 후보는 "기후 위기의 책임이 대기업과 부유층에 집중돼 있고 피해는 서민과 약자에게 전가되고 있다"며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기후정의세' 도입을 주장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