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전국최초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도입... 2028년 신설교 시범적용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이 학령인구 감소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하이브리드 미래학교’를 도입한다.

22일 경기도교육청은 새로운 학교 설계 모델로 ‘하이브리드 미래학교 설계모델’을 구축해 2028년 개교 예정인 일부 신설 학교에 시범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모델은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유연한 철골 유닛 구조를 결합한 복합형으로 설계하고, 학생 수 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진화형 학교’로 구현된다.

구체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내구성이 필요한 필수 학습 공간(일반교실, 특별교실, 체육관, 식당 등)을 담당하고, 철골 유닛 구조는 18학급 규모의 창의융합형 학습 공간으로 구성된다.

 

학급 수가 줄어 철골 유닛을 철거하면 이후 남는 부지는 소공연장, 광장형 공간, 휴게 공간, 학교 숲, 야외 수업 공간 등 지역사회와 함께 누릴 수 있는 복합 소통 공간인 ‘학교 광장’으로 재탄생한다는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2028년도 개교 예정인 일부 학교에 시범 적용할 9가지 배치 유형을 함께 개발, 각 학교 부지 여건에 따라 최적의 설계를 적용할 방침이다.

이를 적용할 경우 공사 기간은 기존 철근콘크리트 방식보다 약 1.5개월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설치 후 10년 이후부터는 철골 유닛을 필요 지역으로 재배치해 시설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기존 고정형 학교로는 학령인구 증감에 따른 학급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면서 “유연성과 확장성을 갖춘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학교 설계부터 유연하게 대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