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소각장 추가 건설… ‘산넘어 산’

市, 신규 부지 입지선정 어려운데... 시설 노후화 문제까지 대책 시급
일각선 “현 시설 재건축” 지적도... “건립지 님비 예상, 재건축 검토”

안산시 폐기물처리(소각)시설 전경. 경기일보 DB
안산시 폐기물처리(소각)시설 전경. 경기일보DB

 

안산시가 소각시설 추가 조성을 추진하고 있지만 대상지 선정에 난항(경기일보 12일자 10면)을 겪는 가운데 현재 사용 중인 시설의 노후화로 효율성이 떨어져 대책이 요구된다.

 

특히 현재 시가 사용 중인 소각시설의 소각로 변형으로 유지보수비가 급증할 것으로 진단받는 등 소각장 재건축의 필요성도 검토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19일 시에 따르면 2022년 7월 환경부가 부족한 소각시설을 올해까지 추가 조성할 것을 촉구해 관련 공고를 두 차례에 걸쳐 추진했으나 입지신청 대상지 접수가 없어 건립 후보지 선정을 위한 용역이 시급하다.

 

이에 시는 관련 법을 토대로 폐기물처리(소각)시설 입지선정위를 꾸려 이를 통해 소각시설 입지 선정과 변경 등은 물론이고 후보지 타당성 조사 필요 여부 결정 및 타당성 조사를 위한 전문기관 선정·타당성 조사계획 수립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시가 2001년 427억여원을 들여 하루 200t을 처리할 수 있는 자원회수시설을 단원구 첨단로 726번지 일대 8만7천226㎡에 건립했지만 24년이 지나 노후화로 하루 160t만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 소각시설 연소가스 방지설비의 경우 케이싱 산화부식이 진행되는 등 전반적인 노후화로 정기적으로 안정적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시는 판단하고 있다.

 

이에 시는 현재 사용 중인 시설을 하루 200t 처리용량에서 250t 규모로 보수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장상·신길지구 및 의왕·군포·안산신도시 조성 등 향후 도시 확장에 따라 늘어날 생활폐기물과 소각장 가동일수 등을 감안, 하루 360t 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보수만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로 인해 시는 신규 소각시설 대상지 선정작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상지 선정에 난항을 겪고 있어 현 소각시설을 재건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시가 신규 부지 선정을 위해 노력 중이지만 대상지가 나타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 소각장을 재건축하면 그 기간 다른 곳에 비용을 들여서라도 처리를 의뢰하면 민원 등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돼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신규 소각시설 부지를 선정하면 님비 현상이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입지 선정에 확실한 인센티브 제공 등 환경부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현 시설에 대한 재건축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 안산시, 자체 추진 소각시설 추가건설 난항…“사업 대상지 못 찾아”

https://kyeonggi.com/article/20250511580186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