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김문수 경기도지사 시절 정책…국정운영 척도 될까 [6·3 대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오른쪽)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불기 2569년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합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오른쪽)와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불기 2569년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서 합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선이 전직 경기도지사 간 경쟁 구도로 치러지게 되면서 이들의 도지사 시절 정책 등이 향후 국정 운영의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국가적 복지의 확대와 공정성을 강화하는 부분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시장 친화적 정책 등을 통한 성장을 각각 도지사 시절 주요 정책으로 추진, 이번 대선 공약에서도 연결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35대(2018년 7월~2021년 10월) 경기도지사를 지냈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는 32~33대(2006년 7월~2014년 6월) 재선 경기도지사 출신이다.

 

전직 도지사라는 점이 유권자들에게 익숙하게 다가올 수 있지만, 이 후보와 김 후보는 도지사 출신이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철학과 정책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 후보는 도지사 시절 생활밀착형 정책에 집중하며 적극적인 정책 실험과 추진력으로 도민 체감도를 높였다.

 

대표적으로 기본소득 등 기본 시리즈 정책과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재난기본소득 지급 등 기존 관행에 얽매이지 않는 파격적인 정책을 잇따라 도입했다. 특히 전국 최초로 전 도민에게 지급한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은 코로나19 국면에서 전국적인 주목을 받으며 이 후보의 존재감을 공고히 했다.

 

반면 김 후보는 도지사 재임시절 안정과 투자 중심의 행정을 펼쳤다. 그는 성남 판교테크노밸리와 수원 광교테크노밸리, 화성 동탄테크노밸리로 이어지는 ‘트라이앵글’을 구축해 한국형 실리콘밸리 조성을 추진한 바 있다. 또 평택 고덕단지에 삼성전자 산업단지 조성과 광역급행철도(GTX) 노선 도입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다만 당시 경기 남부 위주의 개발로 인해 북부지역 간의 개발 불균형 문제 등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두 후보가 향후 국정을 운영할 때도 이 같은 정책 기조가 반영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후보는 적극적 국가 개입을 통한 복지 확대, 공정성 강화 등의 개혁적 국정 운영을 지향할 것으로 예상되고, 김 후보는 민간 활성화와 시장 친화적 정책을 중심으로 한 경제 성장 드라이브를 통해 국가경쟁력 제고에 방점을 둘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날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두 후보 모두 도정을 통해 정책 등을 검증받은 만큼 향후 국정에서도 각자의 방식이 고스란히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