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후보도 같은 날 현충원 찾았지만 채 상병 묘역 찾진 않아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겸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해병대원 순직 사건’ 피해자인 고(故) 채수근 상병 수사에 대한 외압 의혹을 밝히겠다고 약속했다.
김 위원장은 12일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의 채 상병의 묘역을 찾아 참배를 한 후 언론 공지를 통해 “과거 윤석열 정부에서 있었던 일을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채 상병 사고에 대한 수사 외압을 국민의힘이 밝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도 언급했다.
그는 “채 상병이 사고를 당한 지 2년 정도 돼 가고 있다”며 “정말 안타깝게도 이 사고의 원인에 대해서는 밝혀졌지만, 아직도 그간의 수사 외압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법치는 공정해야 하고, 수사의 성역이 없어야 한다며 “국민의힘이 수사 외압을 밝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도 같은 날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묘역을 찾배했으나 채 상병의 묘역을 특별히 찾지는 않았다.
김 후보는 “서해 수호나 국토 수호를 위해 순직·순국한 대표적인 천안함 연평해전 순국선열들의 묘역을 몇 분만 참배했다”며 “일일이 참배하지 못한 점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채상병 사건’은 지난 2023년 7월 폭우 실종자 수색 중 고(故) 채수근 상병이 급류에 휩쓸려 순직한 사건이다. 해병대 수사단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넘기자 윤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 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넘겨졌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해당 사건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규명할 것을 골자로 한 ‘채상병 특검법’을 21대 국회 임기 말부터 총 세 차례 발의해 통과시켰으나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부결된 바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