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보릿고개가 첩첩산중이다. 부동산 경기 위축에 인건비·원자재값 상승으로 일감이 사라졌다. 인천에서도 종합건설업체들이 줄줄이 문을 닫는다. 10년 만의 최다 폐업이라고 한다. 이런 가운데 인천 건설공사의 지역업체 수주율도 전국 꼴찌 수준이라 한다. 그것도 3년 연속이다. 엎친 데 덮친 격이다.
2023년 인천 종합·전문건설업체의 역내 수주율이 21.9%였다. 인천에서 벌어진 건설 공사에 인천 업체가 참여한 비율이다. 2023년 인천에서 이뤄진 전체 건설공사 금액은 21조6천550억원이었다. 이 중 지역업체는 4조7천350억원어치만 수주했다. 이해 전국 평균 역내 수주율이 40.2%였다.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시를 제외하면 전국 최하위 실적이다.
그 이전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2021년 인천의 역내 수주율은 22.3%였다. 당시 전국 평균은 42.8%였다. 2022년에는 20.9%로 더 낮았다. 당시 전국 평균 역내 수주율 40.7%의 절반 수준이다. 3년 연속 인천이은 전국 최하위다. 인천의 건설 공사액이 적은 수준은 아니다. 2023년의 경우 경기 95조8천78억원, 서울 37조6천69억원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이처럼 공사 규모는 크지만 정작 인천업체들은 20% 정도의 공사만 맡는다. 결국 그만큼 타 지역 업체에 일감을 뺏기고 있는 것이다.
인천 건설업체들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측면도 한 원인이라고 한다. 경기·서울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대형건설업체가 적다. 또 지리적으로 가깝다 보니 인천에서 발주된 공사에 경기·서울업체들이 수주전에 뛰어드는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하도급 일감까지 경기·서울업체들이 차지하는 결과도 빚어진다.
인천시가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대책을 내놓았다고 한다. 지역제한 가능 사업에 대해서는 100% 제한을 적용할 방침이다. 100억원 미만 종합공사, 10억원 미만 전문·기타공사가 대상이다. 입찰 공고에서부터 ‘지역 업체만 참여 가능’을 명시한다는 것이다. 지역제한이 어려운 대형 공사는 지역업체 의무 공동 도급률 49% 이상, 분리 발주 등을 유도한다. 지역업체 하도급률에 대해서도 70% 이상을 권장한다는 등이다.
그간에도 이런 대책들이 있었지만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무리한 시장 개입보다는 지역 건설업의 경쟁력 저하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대형 건설업체가 상대적으로 적은 현실이 역내 수주율 저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산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지역 건설업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