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균형국 기자간담회... 경인고속도로 상부 기본계획 수립도
인천시가 원도심 역세권의 기능 회복과 도시 균형발전을 위해 공간 재구성과 주요 교통축 개선에 본격 착수한다.
시는 1일 시청에서 도시균형국 주관 기자간담회를 열고 원도심 11곳의 역세권을 대상으로 한 공간 재구성 사업의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밝혔다. 시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유관기관과 기본협약을 올해 상반기 안으로 체결한 뒤 하반기부터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사업 타당성 검토 및 우선순위 선정을 거쳐 단계별로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은 인천시청역, 부평구청역, 작전역, 서구청역 등 종전 선도사업지 4곳을 포함해 총 11곳의 역세권을 대상으로 한다. 각 지역의 입지 특성과 도시 구조를 반영해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유휴 부지와 노후 시설을 활용한 거점 사업 발굴을 중심으로 한다.
앞서 시는 지난 2024년부터 해당 용역을 통해 사업 방향을 정리하고 작전 역세권은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국가시범지구 후보지로 선정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시는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이 지난 1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상부 도로의 일반화 전환을 대비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도 착수했다. 총 사업비 1조3천780억원을 들인 이번 지하화 사업은 청라1동에서 서울 신월나들목(IC)까지 15.3㎞ 구간에 지하 고속도로를 신설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지상 도로에는 진출입로와 교차로를 확충하고 녹지를 조성해 소음·매연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또 시는 인천대로 일반화 도로개량공사도 현재 1단계 구간 공사에 이어 올해 하반기에는 2단계 구간 우선시공분을 착공할 예정이다. 총 연장 10.45㎞에 이르는 이 사업은 인천기점(미추홀구 용현동)부터 서인천IC(서구 가정동)까지 이어진다. 상부에는 왕복 4차로 도로와 조경녹지, 산책로, 운동시설 등을 만든다. 하부에는 교통 혼잡 해소를 위한 지하차도(4.53㎞)를 건설한다.
시는 이번 사업들을 통해 장기간 고속도로에 의해 단절된 도심의 구조를 다시 연결하고, 정주 여건 개선과 함께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종신 시 도시균형국장은 “원도심은 그동안 도시 성장에서 소외 받는 지역이었지만, 이번 역세권 재편과 교통축 정비를 통해 시민들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