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러시아 파병 북한군 1만5천명…사상자 4천700여명"

사망 600여명 추정…2천여명 북한 송환 후 격리 수용

20250112580011
지난 1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북한 군인 2명을 생포했다고 자신의 텔레그램에 글과 사진을 올렸다.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30일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가운데 사망 600명을 포함해 총 4천700명의 사상자가 나온 것으로 파악했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군은 2차례에 걸쳐 총1만5천명이 파병됐으며 중 사상자는 4천700여명, 사망자는 600여명으로 추산된다.

 

이중 2천여명은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항공기와 열차 편으로 북한에 송환돼 평양 등지에서 격리 수용중이다. 

 

국정원은 북한이 러시아의 쿠르스크 탈환 작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해당 작전 이후 교전이 다소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이 3차 파병을 아직 공식화하지는 않았으나 특수전 병력 훈련을 강화하고 있는 점을 근거로 추가 파병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봤다.

 

또 북한군이 파병 초기와 달리 무인기 등 신형 장비에 익숙해지면서 전투력이 상당히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파병 장기화로 북한군 내 과음·절도 등 현지 일탈 행위도 보고됐다고 전했다. 

 

북한은 파병 및 무기 수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정찰 위성 발사대 및 기술 자문, 무인기 실물, 전자전 장비, SA-22 지대공 미사일 등을 제공받은 것으로 국정원은 보고했다.

 

또 금속·항공·에너지·관광 등 14개 부문에서 산업 현대화를 논의 중으로, 북한 노동자 1만5천명 정도가 러시아에 송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