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산~옥정 광역철도 장암역 운영비 문제' 당 넘어 손잡은 의정부 경기도의원

경기도의회 의정부지역 의원들이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섰다. (왼쪽부터 지역구순)김정영·이영봉·최병선·오석규 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의정부지역 의원들이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공동 대응에 나섰다. (왼쪽부터 지역구순)김정영·이영봉·최병선·오석규 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의회 의정부지역 의원들이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 사업 현안 해결을 위해 당을 넘어 손을 맞잡았다.

 

29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의정부를 지역구로 둔 도의회 김정영(국민의힘·의정부1), 이영봉(더불어민주당·의정부2), 최병선(국민의힘·의정부3), 오석규(더불어민주당·의정부4) 의원은 최근 의정부 교통국 관계자들을 연이어 만나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 사업 관련 논의를 했다.

 

이들은 해당 사업의 핵심 현안인 102정거장(장암역) 운영비 부담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협의는 서울교통공사의 의견을 수렴해 장암역이 섬식 승강장으로 변경되고, 역사 신축이 결정됨에 따라 장암역의 관리 및 운영 주체를 놓고 서울교통공사와 의정부시 간 이견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의정부시는 장암역 운영 비용 부담은 서울교통공사가 전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처음 계획을 수립했을 때 운영비 부담의 주체 명시가 누락됐고, 장암역 부지 및 차량기지 소유 및 운영 책임에 대해 경기도와 서울시가 적극적인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입장이다.

 

특히 서울시가 기피시설 운영의 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데 대해 직접적인 협상을 요구하고 7호선 연장 구간의 부분적인 단선 문제를 해결하면서 이후 복선화 대비 등을 건의해달라고 도에 요청했다.

 

이영봉 의원은 “장암역 운영비 부담을 시·군에 전가하는 건 경기도의 명백한 ‘책임 회피’”라며 “의정부시 도의원들과 연대해 공동으로 대응하고, 시민사회단체와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영, 최병선 의원 역시 “경기도가 초기 구상 단계에서 운영비 분담 주체를 명확히 규정하지 못했다”고 지적하면서 “장암역 부지와 인접한 차량기지가 서울교통공사 소유이며 운영 책임 또한 그들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두 의원은 “경기도의회 차원에서 도정질의, 5분 발언 등 다각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지역 사회 공론화를 통해 정당성을 확보해 시민들의 교통편의 증진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7호선 연장 구간 단선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오석규 의원은 “ 서울시 도봉차량기지 입지로 서울시민들의 철도대중교통을 위해 의정부시와 시민이 불편을 감수해왔다”며 “장암역 신축역사 운영에 대한 서울교통공사의 책임 있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