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출생·혼인·사망 늘고 이혼 줄어" 사망자 수, 출생아 수 웃돌며 인구 자연 감소
지난 2월 출생아 수가 전년 동기에 비해 622명 증가했다.
혼인 증가 등의 영향으로 2월 출생아 수가 1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또 월별 출생아 수와 혼인건수는 각각 8개월, 11개월째 늘고 있다.
23일 통계청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는 2만35명으로 1년 전보다 622명(3.2%) 증가했다. 2월 기준으로 놓고 볼 때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늘어난 것은 11년 전인 2014년 이후 처음이다. 증가 폭도 2012년 2월(2천449명) 이후 13년 만에 제일 크다.
이러한 월별 증가세는 지난해 7월부터 8개월 동안 지속돼왔다. 다만 2월 합계출산율은 1년 전보다 0.05명 증가했으나 0.82명에 그쳤다. 부부가 평생 1명 이하의 아이를 낳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에서 전년 2월(5천707명)에 비해 지난 2월(6천17명)으로 310명 늘었다. 이외에 서울·부산 등 8개 시도에서 출생아가 늘었고 광주·세종 등 8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아울러 혼인 건수도 증가했다. 2월 혼인 건수는 1년 전보다 2천422건(14.3%) 늘어난 1만9천370건으로, 2017년(2만1천501건)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고, 작년 4월 이후 11개월째 늘고 있다.
지역별로 봐도 2월의 혼인 건수는 전국 모든 시도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전년 2월 4천694명에 비해 지난 2월 5천269명으로 575명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 증가 등 영향으로 출생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출생아 증가세가 더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2월 사망자는 3만283명으로 1년 전보다 401명(1.3%) 늘었고, 이혼은 1년 전보다 7건(0.1%) 줄어든 7천347건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며 2월 인구는 1만248명 자연 감소했다. 인구는 2019년 11월 이후 5년 4개월째 자연 감소하는 중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