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국가책임제 실시 등 정책 발표 "장애로 인한 차별 없는 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제대로 쓰임 받는 참된 일꾼 되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장애가 꿈과 일상을 발목 잡지 않는 나라, 모두가 당연한 권리를 누리는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 부활절을 맞아 “대한민국을 우뚝 서게 하는 도구로 써달라. 참된 일꾼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일상 곳곳의 장벽을 정비하여 장애로 인한 차별이 없는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며 “장애인을 보호의 대상이 아닌 당당한 권리의 주체로, 당사자의 참여로 만들어지는 장애인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모두의 시선과 인식을 드높일 시점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우리는 때가 되면 누구나 당연히 자립한다 여기지만, 가족과 공동체의 돌봄과 국가 지원 없이 온전히 서는 일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장애인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강화 ▲이동권 보장과 유니버설 디자인 확대 ▲발달장애인과 정신장애인 돌봄 국가책임제 실시 등의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필요한 만큼,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국가가 나서 서비스의 양은 늘리고 질은 높이겠다”며 “국민의 약 30%, 1천500만 명이 교통약자”라고 설명했다. 이에 누구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교통 시설을 개선하고, 특별교통수단을 확충하겠다고 했다.
또한 돌봄 국가책임제를 실시해 가족의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그는 “일가족의 삶이 서서히 무너지는 비극을 더는 방치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교육 측면에선 통합교육 환경 조성도 약속했다. 그는 “지난해 여야가 함께 통과시킨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 촉구 결의안’의 취지에 맞게 장애와 비장애 구분 없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적었다.
이 후보는 “AI·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한 맞춤형 장애인 지원 체계도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닐 것”이라며 “가족과 공동체, 국가 안에서 모두가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썼다.
한편 같은 날 부활절을 맞아 이 후보는 “예수님께서는 고난과 깊은 절망의 순간을 온몸으로 겪어내시고 끝까지 믿음을 잃지 않았기에, 부활의 기적을 이루셨다”며 “정치가 나아갈 길 역시 마찬가지다. 정치가 국민을 위해 어려움을 인내하고 도전을 포기하지 않을 때, 새로운 희망의 봄을 맞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