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 공식화…본선 공약 가능성↑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왼쪽부터),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가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서약문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왼쪽부터),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가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서약문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들이 집권을 전제로 한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을 사실상 공식화했다.

 

이재명, 김경수, 김동연 예비후보 등 경선에 뛰어든 모든 예비후보가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공약으로 발표하면서 대선 본선에도 민주당의 공식 공약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커졌다.

 

17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 예비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균형발전의 심장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수 예비후보는 지난 13일 세종에서 출마 선언을 하면서 행정수도 세종 완전 이전 및 대통령 집무실 세종 이전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김동연 예비후보도 “대통령실, 국회, 대법원, 대검을 세종시 및 충청권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 왔다.

 

이는 윤석열 정부의 ‘용산 대통령실’과의 결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집무실을 이전해야 한다는 판단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김경수 예비후보의 경우 기자회견에서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선 안 된다”며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의 소굴에서 새 대통령이 집무를 시작하는 건 내란의 잔재와 완전히 결별하지 못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산’을 계승한다는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공약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민주당의 첫 순회 경선지가 충청으로 결정되면서 주자들의 충청권 공약이 다른 지역 공약에 비해 더 빠르게 공개되고 있다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대선 본선까지 염두에 둔 행보로 봐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대선에서 ‘캐스팅보터’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원 민심을 공략하는 데에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후보 캠프 강훈식 총괄본부장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민주당에서도 충청이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 ‘바로미터’였다는 점을 당에서도 잘 알고 있다”며 “우리 캠프도 충청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회 및 대통령 집무실 이전은 수도 이전에 가까운 내용”이라며 “개헌과도 맞물린 내용이기 때문에 이 후보가 토론회 등에서 입장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