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군의 재정자립도는 경기도 30위다. 14.5%로 꼴찌에서 두 번째다. 성남시 62.2%, 화성시 58.6%다. 경기도 평균 61.6%다. 연천군은 수도권이 아니다. 경제력이라는 측면에서 그렇다. 접경지역에 따른 각종 규제가 있다. 먹고살 산업이 들어서기 어렵다. 그나마 주민의 희망이 관광이다. 군사유적지, 접경지 환경 등이 소재다. 그중 하나가 백마고지역이다. 철도중단점에 ‘철마는 달리고 싶다’조차 군민에게는 자산이다.
관광 산업은 외지인이 방문해야 산다. 교통망이 필요하고 철도가 핵심이다. 백마고지역을 오가는 열차가 있다. 이게 2019년 4월 중단됐다. 경원선 전철 연장 공사 공정 단축이 이유였다. 코레일은 추후 운행 재개를 약속했다. 그 뒤 셔틀버스가 대체 운행되고 있다. 인접한 철원군도 같은 사정이다. 연천·철원군이 지난해 운행 재개를 공지했다. ‘이르면 2025년 8월부터 재개한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 기대가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코레일이 들고나온 운영비 부담 조치다. 44억원을 연천군과 철원군에 부담시켰다. 일회성이 아니라 매년 내야 할 돈이다. ‘전철이 개통되면 재개한다’고 믿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운영비 부담이 등장했다. 이 조건에 부딪혀 철로 개·보수 공사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열차 개조에 2~3개월, 선로 수선에 수개월이 소요된다. 8월은 물론 연말 개통도 불가능해졌다. 코레일 주장대로면 아예 폐선될 수도 있다. 연천군에는 그런 돈이 없다.
재정자립도 14.5%다. 가용 재원이 거의 없다는 얘기다. 여기서 어떻게 매년 20억~30억원을 떼어 내나. 당초 약속도 아니었다. 버젓이 운행되던 노선이다. 전철 공사를 위해 중단된 상태다. 그때만 해도 운영비 부담 얘기는 없었던 듯하다. 그러다가 갑자기 코레일이 들고나왔다. 아마 수지타산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철로 개·보수에만 128억원이 든다고 한다. 투입되는 예산 부담이 큰 모양이다. 그 손실 보전의 수단인 것 같은데.
연천군 입장이 안타깝다. “2019년 (백마고지역) 통근 열차 운행 중단 때 전철이 개통되면 운행을 재개한다고 했었다.”, “(계획에 없던) 막대한 비용을 떠맡을 수 없다.”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는 했지만 뾰족한 수는 없어 보인다. 연천·철원군에 부담이 너무나 크다. 일방적으로 결정된 절차적 부당성도 있다. 타 지자체에서 같은 선례가 있는지도 의문이다. ‘달리고 싶은 철마’가 연천의 관광이었는데, 그 철도가 또 멈춰서게 될 판이다.
연천군과 경기도, 경기도와 코레일 등 다양한 대화가 필요해 보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