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가 ‘첨단과학연구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경제자유구역 유치에 한발 더 다가섰다.
수원시는 경기도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주관한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후보지 공모’에서 최종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지난 1월, 2년간 준비해온 ‘수원 경제자유구역’ 조성계획을 바탕으로 공모에 제안서를 제출했고, 2월 발표 평가와 3월 현장 평가를 거쳤다.
이후 국토교통부 심사위원단은 수원시를 비롯해 파주시, 의정부시 등 3개 시를 개발계획 변경(안)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대상지로 선정했다. 수원시는 산업 기반, 정주 여건, 교통 인프라 등 전 분야에서 고른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원시가 제시한 경제자유구역의 비전은 ‘첨단산업 연구개발(R&D) 거점’ 조성이다. 수원 R&D사이언스파크와 탑동 이노베이션밸리를 중심으로 3.3㎢(100만평) 규모의 경제자유구역을 1단계로 조성하고, 향후 6.6㎢(200만평) 규모로 확장한다는 구상을 담고 있다.
후보지로 선정된 서수원 일대는 신분당선, GTX-C, 국철 1호선 등 광역철도망과 수원광명·과천의왕고속도로 등 교통 인프라가 인접해 접근성이 뛰어나다. 외국인 투자와 글로벌 기업 유치에 유리한 입지로 평가받는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관세, 취득세, 재산세 등 세제 혜택과 자금 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규제 완화도 이뤄져 첨단기업 유치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수원 경제자유구역 조성에 따른 기대 효과는 생산 유발 13조6천억 원, 부가가치 창출 5조4천억 원, 일자리 창출 8만9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원시는 경기도와 올해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9월 전문가 의견 청취, 11월 시민 의견 수렴 등 공론화 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전문가 자문단도 구성해 상시 운영하며, 2026년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시는 북수원테크노밸리, 우만테크노밸리 등 첨단산업 거점을 고리형으로 연결하는 ‘환상형 첨단과학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해 수원을 ‘첨단과학연구도시’로 탈바꿈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재준 시장은 “경제자유구역은 수원이 첨단과학연구 도시로 도약하는 결정적 발판”이라며 “수원의 미래를 결정지을 중요한 기회인 만큼, 빈틈없이 준비해 산자부 평가를 반드시 통과하겠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