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 90일 유예에도…경기도 중소기업계 '풍전등화'

image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으로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경기일보DB

 

미국발 관세 강화 조치가 90일 유예 결정됐지만 경기도 중소기업들은 풍전등화 상황에 놓였다.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기계·금속·전자부품 업종은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글로벌 OEM 등과 연결된 2·3차 벤더들은 단가 압박 등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역 중소기업계에선 피해기업 대상 금융 지원, 해외시장 다변화를 위한 대책 등 의견을 꺼내고 있다.

 

13일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2.04% 중 수출의 기여도는 1.93%포인트(p)로 최근 5개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6천84억 달러)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36.3%를 기록하며 2020년대 들어 최고치였다.

 

이때 총수출에서 반도체 수출과 자동차 수출은 각각 21%, 13.4%로 ‘효자 품목’ 노릇을 했다. 하지만 미국의 ‘상호관세 폭탄’으로 인해 몇 개월 만에 수출 효자 입지가 흔들릴 위기에 놓였다.

 

현 시점에선 제조업 기반이 강한 경기도 중소기업계의 한숨이 특히 짙을 수밖에 없다. 미국의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가 90일간 유예(25%→10%)됐어도,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대해선 그대로 품목별 관세(25%)가 유지돼서다.

 

안산에서 기계부품을 만드는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저는 ‘예측할 수 없는 리스크’가 가장 두렵다.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해 정확히 파악이 안 된다는 게, 그로 인해 물류비가 얼마나 상승할지 모른다는 게 막막하다”며 “생산 비용부터 줄인 후에 거래처와 관세 부담을 논의하려 하는데 일부 거래처는 잃을 수도 있어 신중하게 움직일 생각”이라고 전했다.

 

여기에 중국의 보복 관세도 골치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맞불을 놓을 때마다 글로벌 OEM이나 미·중 기업과 연결된 2·3차 벤더들이 거래를 줄이거나 단가를 낮추라고 압박할 수 있어서다.

 

이에 도내 중소기업계에선 ▲관세 피해 중소기업의 공급 확대를 위한 금융 및 보조금 지원 ▲동남아·중동 등 신흥시장 개척 사업 강화 ▲스마트공장 전환과 내수시장 확대에 대한 정책 강화 ▲스타트업·벤처기업의 미국 시장 진입을 통한 수출 품목 다변화 등 의견이 오가고 있다.

 

도내 한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피해는 여기저기서 커질 것이다. 미국이 중국의 소액 소포에도 120% 관세를 부과하며 사실상 ‘알리·테무’ 이용을 막았는데 그 물량이 국내로 유입되면 국내 소상공인이 피해를 볼 것이고, 또 중국 등 해외 물품이 한국산으로 둔갑해 가짜로 대미 수출되는 일도 생길 것”이라며 “결국 보편 관세 부과로 수출 가격이 높아지면 증가분은 우리 기업에, 우리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어 정부의 정책 자금 지원 등 대응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2일(현지시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하고 스마트폰, 컴퓨터 등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관련 업계는 ‘관세 예외’ 대상에 들어가면서 불확실상이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