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행정수도를 세종으로"...대권 도전 선언

노무현 분권 상징, 세종서 출마 기자 회견 
지자체를 지방정부로 헌법 개정...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 제시 
"개헌은 대선 이후 사회적 공론화 거쳐 내년 지방선거에서 해야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도전을 공식 선언했다. 

 

김 전 지사는 13일 오전 세종시청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옮겨오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김 전 지사는 “내란의 상징인 용산을 더 이상 대통령실로 사용할 수 없다”면서 "대통령이 반드시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어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전 지사는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 대통령의 절대 권력을 막을 수 있다”면서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하도록 헌법부터 바꾸고 자치권도 명문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 비전을 제시했다.

 

김 전 지사는 “국가 운영의 기본 틀을 바꿔야 하고 성장축을 다양화해야 한다”면서 “수도권 일극이 아닌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 자치정부가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 가는 시대를 만들겠다”고도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연간 30조원 이상의 자율 예산 지원 ▲촘촘하고 신속한 광역교통망 조성 ▲정책금융기관 및 지역투자은행 설립 ▲민간 벤처 모펀드 50조원 조성 등을 통해 5개 메가시티 자치정부의 성장축을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개헌 논의와 관련, 김 전 지사는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 다음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란 종식의 완성은 개헌이지만 개헌 논의가 내란 세력의 책임 면피 수단이 될 수는 없다"며 "윤석열 보유정당의 이름표를 달고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세력과 동거하며 어떻게 개헌을 얘기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개헌은 헌정 수호 세력의 단단한 연대와 연합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새로운 헌법을 국민과 함께 만들고 제7공화국 새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이어 "100일의 대타협, 5년의 비상 대책 정부를 통해 대계획과 비전을 만들겠다"며 이를 위해 차기 정부 출범 즉시 '100일의 대타협과 빛의 연정 만들기'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으로 불린 김 전 지사는 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의 이력을 강조하며 "입법·행정·국정 경험을 모두 가진 유일한 후보로, 거인들의 어깨 위에서 배운 통합과 연대의 경험과 비전이 있다"면서 타 후보들과의 차별성을 부각하기도 했다.

 

그는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3대 민주 정부의 공과를 모두 가진 민주당은 경험에 바탕으로 한 실력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것"이라며 "저에게 기회를 달라.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하던 절박함으로 대한민국의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