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의 대표 자동차산업 거점인 경기도와 미시간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 부품 관세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4개 항에 합의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는 4대 항목의 실무협의를 신속히 진행하기로 하고, 한미 지방정부 간 최초의 전략적 연대를 공식화했다.
10일(현지 시간) 김 지사와 휘트머 주지사는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회담을 갖고, 자동차산업 공동 대응을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에 의견을 모았다. 이번 4대 합의는 김 지사가 제안한 내용에 휘트머 주지사가 전폭 동의하면서 이뤄졌다.
먼저 ‘자동차산업 상생을 위한 경기도-미시간주 협의체’가 구축된다. 도는 현대차·기아·한국GM 등 6개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부품사의 23%가 밀집한 지역이며, 미시간주는 GM·포드·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 완성차 본사가 있는 자동차산업의 중심지다. 김 지사는 “(양국 기업간)정보교환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휘트머 주지사는 “정보교환의 통로를 만드는데 역할을 하고 싶다”고 화답했다.
다음으로 국내 부품기업과 미국 완성차 3사 간의 직접 대화채널이 신설된다. 이는 지난달 평택항 간담회에서 국내 부품업체들이 김 지사에게 요청한 핵심 과제로, 납품 조건 및 가격 등 민감한 이슈 해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미시간주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 부품기업에 대한 인센티브가 확대된다. 김 지사의 투자 유치 요청에 휘트머 주지사는 초기투자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 확대 방침을 긍정적으로 밝혔다.
아울러 경기도가 주최하고 미시간주에서 개최 예정인 ‘미래 모빌리티 테크쇼’에 미국 완성차 기업들이 공식 참여한다. 유망한 국내 부품사들의 기술을 미국 시장에 소개할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이날 김 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는 세계 경제에 대한 자해행위이며, 물가 상승과 일자리 감소로 미국에도 해가 된다”며 “도는 자체적인 기업지원 계획을 조만간 편성할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휘트머 주지사 역시 “관세는 (예리한 도구가 아닌) 뭉특한 도구”라며 “김 지사가 짚어준 네 가지 포인트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완성차 3사와의 연결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회담 전 김 지사는 미시간 현지에 진출한 현대모비스, 넥센타이어, LS오토모티브 등 8개 부품기업 미국법인장들과 라운드테이블을 가졌다. 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상황이 바뀐다”며 심각한 정보 부족 문제를 호소했고, 김 지사는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반영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