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년 만의 부활 이후, 도교육청 관심 줄며 참가선수 ‘급감’ 도내 육상 관계자들 ‘보여주기식 행정’ 우려하며 ‘지속 정책’ 당부
“불과 2년 전과 상황이 달라도 이렇게 다른가요? 교육청이 무관심하니 일선 교육지원청도 관심이 떨어져 1년 전과도 큰 차이가 있네요.”
경기도 육상의 꿈나무 등용문인 2025 경기도교육감기육상대회 겸 제54회 전국소년체전에 참가할 경기도대표 선발전이 지난 8일부터 오는 10일까지 열리고 있는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는 불과 1년전과 비교해 현저히 줄어든 참가 선수에 도내 육상 관계자들이 한숨을 내쉬었다.
경기도교육청은 임태희 교육감 취임 후인 2023년, 전임 교육감 시절 6년간 중단됐던 교육감기 대회를 모든 종목의 기초인 육상 발전은 물론, 타 종목 동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며 부활시켜 개회식을 성대하게 치르는 등 침체된 학교체육의 부활을 알렸었다.
당시 도내 25개 시·군 교육지원청에서 325개교 1천500여명의 선수가 참가해 기량을 겨루며 희망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는듯했다. 지난해에는 부교육감이 참석했고, 선수 1천200여명이 참가해 모처럼 살아난 육상붐이 이어지는 듯 했다.
하지만 올해 대회에는 교육감이나 부교육감이 참석하지 않으면서 개회식도 열리지 않았고, 지난 2년간 100% 참석율을 보였던 시·군 교육지원청 교육장들의 모습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는 참가 선수 수에 영향을 미쳐 전년도와 비교해 약 500여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년전 위축된 학교체육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던 약속이 불과 2년 만에 공염불이 된 것이다. 이에 육상 관계자들은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탁상 행정’이 2년 만에 ‘용두사미’가 됐다며 경기도의 학교 체육정책에 우려를 표했다.
더불어 매년 소년체전때만 되면 다메달 종목들에 많은 금메달을 주문하는 도교육청이 정작 그 기반 조성은 등한시 한 채 결과물만 얻으려 한다는 불만을 토로했다.
한 육상 관계자는 “교육감기 육상대회는 숨은 인재를 발굴해 육상은 물론 다른 종목에 진출하는 선수를 배출하는 화수분 역할을 했는데 도교육청의 안일한 행정에 이제는 그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라며 일관성 있고 지속 가능한 정책 시행을 당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