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물가 2009년 금융위기 후 16년 1개월 만 최대 사립대 중심 등록금 인상이 국공립대·전문대·유치원 등으로 확산
금융위기 이후 교육 물가가 가장 큰 폭으로 오르며 학부모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지출목적별 분류)는 전년 대비 2.9% 상승했다.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2월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을 기록한 것이다.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이 국공립대·전문대·유치원으로 확산되며 교육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등록금을 올리는 대학이 늘어나면 전체 교육물가 상승 압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국공립대 39곳 중 28.2%인 11곳도 등록금을 올린다.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대납입금은 전년 대비 5.2% 올랐다. 2009년 2월 7.1%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부산·울산·경남이 5.6%로 앞섰고, 서울·인천·경기(5.5%)가 뒤를 이었다.
국공립대납입금은 1.0% 올라 2022년 2월(2.1%)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다. 서울·인천·경기(1.6%), 대구·경북(0.4%) 외 나머지 시도에서는 오르지 않았다.
이러한 대학 등록금 인상으로 교육 물가 전반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대학원납입금은 3.4%, 국공립대학원납입금은 2.3% 올라 2009년 2월(사립대 6.5%·국공립대 7.8%)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전문대학납입금도 2009년 이후 최대인 3.9% 상승했다.
이와 함께 유치원납입금도 9년 1개월 만에 최대폭인 4.3% 올랐다. 전남(24.3%), 강원(15.7%), 부산(14.7%), 경북(12.1%), 서울(5.0%) 순으로 높았다.
가정학습지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11.1% 오르며, 199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닝 이용료도 3개월 연속 9.4% 상승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최대폭을 이어갔다.
반면 3월 초·중·고 학원비 상승률은 각각 2.0%, 1.2%, 1.0%로 전체 물가 상승률(2.1%)보다 낮았다. 하지만 음악(2.2%), 미술(2.9%), 운동(3.9%) 학원비는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특히 운동 학원비는 3%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5학년도 1학기 등록금 인상은 내년 2월까지 매달 전년 대비 전체 물가에 상승 기여로 반영된다”며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2학기에 등록금을 올릴 경우 그만큼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에 추가로 반영될 수 있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