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파면에 환율 '급락'...정치 테마주는 '들썩'

 

image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인 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34.29포인트 내린 2452.41로 시작했다. 연합뉴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선고된 11시22분 기준 1436.30원을 기록했다.

 

4일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6.5원 하락한 1450.5원에 개장한 뒤, 헌법재판소의 결정문 낭독이 시작된 오전 11시 이후 1430.40원까지 내려갔다. 원·달러 환율이 1천430원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월26일(종가기준) 이후 약 한 달 만이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이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운 데다,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환율 하락이 가속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월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달 비상계엄 사태 이후 급등한 원·달러 환율은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 체력)에 비해 과도한 수준”이라며 “계엄을 거치면서 1천400원대에서 1천470원까지 오른 70원 중 약 30원가량은 정치적 불확실성 때문이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날 증시는 정치 테마주를 중심으로 요동쳤다. 윤 전 대통령 관련주들이 급락한 반면, 차기 대권 주자로 거론되는 인물들의 테마주는 급등락을 반복하며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테마주로 꼽히는 NE능률은 장중 하한가를 기록했다. 개장 직후 11% 급등했던 주가는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다가오면서 변동성이 커졌고, 결국 대통령 파면 결정이 나오자 오전 11시23분 기준 30.00% 급락해 3천500원으로 장중 하한가에 도달했다. 아이크래프트(-19.40%), 덕성(-12.52%) 등 다른 윤 전 대통령 관련주도 동반 하락했다.

 

반면 차기 대권 주자로 꼽히는 여야 정치인 테마주는 급등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테마주로 꼽히는 상지건설은 이날 오전 11시44분 기준 상한가(29.96%)를 기록하며 6천940원까지 치솟았다. 코나아이(9.75%), 형지I&C(4.02%)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며 오리엔트정공(-6.69%), 오리엔트바이오(-4.57%), 형지글로벌(-12.15%), 동신건설(-12.31%) 등 일부 종목은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같은 시각 김동연 경기도지사 관련 종목인 PN풍년(7.54%), SG글로벌(2.75%), 코메론(0.84%) 등은 소폭 상승했다.

 

국민의힘 유력 대선주자 관련주들도 들썩였다.  오전 11시49분 기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테마주로 꼽히는 평화홀딩스는 전날보다 2천290원(29.93%) 급등해 상한가를 썼다. 대영포장(23.86%), 평화산업(18.20%) 등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같은 시각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테마주인 안랩(7.70%), 써니전자(19.02%)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관련주 대상홀딩스(20.91%), 태양금속(16.32%) 등도 상승했다.

 

홍준표 대구시장 관련주도 급등했다. 경남스틸은 상한가를 기록했고, 삼일(19.57%), 한국선재(19.77%), 태양금속(18.41%) 등이 강세를 보였다. 오세훈 서울시장 관련주인 진양산업(5.19%), 진양화학(18.10%)도 강세를 보였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이날 오전 11시22분 서울 종로구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기일을 열고, 재판관 전원 일치로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고 판결했다. 이에 따라 정치권과 금융시장이 향후 정국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가운데 정치 테마주의 변동성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