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국민 안위 걸린 문제, 불이익 없도록 문제 해결해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로 글로벌 관세전쟁이 현실화하며 경기도내 수출기업들은 관세 부담을 떠안게 됐다. 도내 수출 중소기업 관계자는 “미국의 엄정 관세 조치에 결국 관세 부담이 현실이 됐다”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호소했다.
3일 산업계는 이날 새벽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결정 소식에 관세 부담을 호소하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전국 9만5천여개의 수출기업 중 대미 수출기업은 2만2천개에 달하며, GDP의 40%가량을 수출이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는 수출이 큰 먹거리 분야 중 하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광폭 관세 부과 조치로 지난달 12일 철강 알루미늄 분야를 시작으로, 5월3일까지 본격적인 관세 부과 업종 확대를 앞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대외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대기업의 경우 미국 시장 진출로 제조업 공동화 문제가 빚어질 수 있고, 역량이 다소 부족한 중소기업은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다”면서 “미국의 관세 조치는 전 세계의 관세 장벽을 높이는 시발점이 될 것이며, 이는 개별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정부는 국민의 안위가 걸린 문제임을 인지하고, FTA 상호국으로 불이익 없도록 통상 문제 해결에 대응해 나가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서구 경기도수출기업협회 부회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로 도내 수출기업들이 긴장한 상태”라면서 “국내 수출기업의 관세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정부는 꾸준한 소통 등 미국과의 외교를 대외적으로 지속하면서 내부적으로는 추후 국내 수출기업들이 겪게 될 손실 부분에 있어서 중소기업 자금 지원책을 탄탄히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 관세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로 구성됐으며, 각각 이달 5일과 9일에 시행된다. 개별 관세는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대만 등 60여개국에 부과됐다.
국가별 관세율은 한국 26%,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대만 32%, 일본 24%, 인도 27% 등이다.
이에 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공식 발표 이후 긴급회의를 개최하는 등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조속히 움직이고 있다. 이날 오전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경제안보전략TF 회의를 열어 관계 부처에 상호관세의 상세 내용과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미 협상에 적극 나설 것을 당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