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에서 대형 싱크홀(땅 꺼짐)이 발생하며 인명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경기도가 일선 시·군의 지하개발 사업장에 대한 현장 안전 점검을 실시했다.
도는 지하안전 전문가 42명으로 구성된 ‘경기지하안전지킴이’가 지하개발 사업장 21곳에 대한 현장점검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점검 지역은 용인·광명·의정부·파주·시흥·광명·하남 등 7개 시다.
점검은 터파기 이후 외력에 의한 지반침하, 균열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목적으로 지난달 3일부터 이달 7일까지 진행됐다.
점검 결과, 도는 지하개발 사업장 개선사항 71건을 발굴했으며 현장 내 위험구간(추락 등) 안전간판 추가 설치, 수해 방지대책 수립 시 최근 강수량 반영 등 66건을 개선, 나머지 5건도 5월 중 완료할 계획이다.
도내 지반침하 건수는 2018~2023년 연평균 46건에서 지난해 29건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도는 2020년부터 지반침하 사고 예방을 위해 토질·지질·구조 등 전문가로 구성된 ‘경기지하안전지킴이’가 현장자문을 지원하는 정책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도는 지난 25~26일 양일간 시·군 지하안전 업무담당자 및 지하시설물 관리자(상·하수관, 도로, 공동구, 지하보도 등)를 대상으로 안전점검 방법 등을 외부 강사를 초청해 교육을 추진했다.
이 자리에는 도내 31개 시·군 공무원 120여명이 참석했으며 ▲지반침하사고 예방정책 및 지반침하 발생 시 대응 방안 ▲지하개발 사업장의 효과적인 안전점검 추진 방안 ▲지하안전평가 재협의 민원사례 공유를 주제로 진행됐다. 도는 이를 통해 담당 공무원들의 지하안전관리 직무능력 향상으로 도민이 안전한 경기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성습 도 건설국장은 “지반침하 사고 등으로 지하 안전에 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지하개발 사업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꼼꼼하게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