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환경투자 1천억' 말뿐…충당부채 적립 고작 390억

영풍 “충당부채는 회계상 추정치…환경개선 실투자는 매년 1천억 규모” 반박

“무방류시스템 운영비는 별도 집행…투자액 포함 주장 사실 아냐” 해명

영풍 본사 전경. 영풍 제공
영풍 본사 전경. 영풍 제공

 

영풍이 환경개선 충당부채를 또다시 과소계상했다는 의혹이 다시 불거졌다.

 

매년 1천억원 이상 환경개선에 투자한다는 영풍의 주장과 달리, 지난해 적립된 환경개선 충당부채는 300억원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영풍은 지난해 환경개선 충당부채로 390억원을 설정했다. 이는 2023년 적립액(853억원)보다 54.2%(463억원) 줄어든 수치다. 항목별로는 오염물질 반출을 위한 충당부채가 349억원, 토지정화 목적이 40억원, 주변하천 복구가 9천만원 수준이었으며, 지하수 정화 항목은 전혀 적립되지 않았다.

 

낙동강 수질오염 문제로 과징금 281억원을 부과받은 전례가 있는 상황에서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충당부채는 지출 시기나 금액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반드시 발생할 비용을 미리 반영하는 항목으로, 재무제표상 영풍의 환경개선 투자 실태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꼽힌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적립액을 보면 연평균 739억원으로, 영풍이 언론 등을 통해 공표한 1천억원 수준과는 괴리가 크다.

 

실제 자금 집행도 미진했다. 지난해 충당부채 사용액은 386억원으로, 토지정화 249억원, 반출 123억원, 지하수 정화 14억원 수준에 그쳤다. 최근 4년간 누적 사용액은 1천148억원으로, 연평균 287억원에 불과하다. 일각에서는 영풍이 환경개선보다는 실적 방어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영풍은 환경개선 충당부채 논란이 처음 불거졌던 지난해 하반기에도 9월까지 설정액이 1억원에 불과해 논란을 자초했다. 해명 과정에서는 기존 설비 운영비용까지 포함해 1천억원 투자라고 주장했지만, 업계에선 운영비까지 투자로 계상하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영풍이 향후 조업 정지와 환경 당국의 추가 제재 등 더 큰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오는 6월까지 이행해야 할 토양정화명령은 여전히 진행률이 저조하고, 2022년 받은 통합환경허가 조건 103건 가운데 약 23%는 아직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다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받은 58일 조업정지 처분 외에도 황산가스감지기 미작동 문제로 10일 추가 정지 처분이 내려져 최대 4개월 가까이 생산이 중단될 수 있다. 일부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석포제련소 폐쇄 또는 이전 요구도 제기되고 있어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영풍이 환경개선 충당부채를 적게 쌓은 이유를 투명하게 밝히는 게 먼저"라며 "기존 설비 운영비까지 투자금으로 포함해 해명하는 것은 오히려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영풍 측은 "사실과 전혀 다르며, 회계 개념을 왜곡한 주장”이라며 “충당부채는 미래 예상 비용을 반영하는 회계 항목일 뿐, 실제 집행된 환경개선 비용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를 근거로 전체 투자를 축소 해석하는 것은 명백한 오류"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그러면서 "충당부채 외에도 환경설비 투자와 운영비 등을 포함해 매년 약 1천억원 규모를 환경개선에 사용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천125억원, 지난해에는 1천43억원을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무방류시스템 운영비가 투자에 포함됐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해당 운영비는 별도로 집행되며, 투자액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