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근해진 봄날 읽기 좋은 신간…'봄밤의 모든 것' 外 [신간소개]

완연한 봄기운이 찾아왔다. 따뜻한 날씨와 가벼운 옷차림, 거기에 책 한권이 더해지면 포근해진 봄날을 즐기기에 제격이 된다. 봄볕이 내리쬐는 창가에서, 또는 봄맞이 산책을 하거나 훌쩍 여행을 떠날 때 읽기 좋은 소설을 모아봤다.

 

■ 봄밤의 모든 것

 

‘봄밤의 모든 것’ (문학과지성사 刊)
‘봄밤의 모든 것’ (문학과지성사 刊)

 

“그녀의 이목구비나 실루엣, 목소리의 높낮이와 이름 같은 건 세월 속에 지워졌다. 하지만 나는 그녀의 얼굴에 일렁이던 특별한 빛에 대해서는 기억하고 있는데, 그건 사랑에 빠진 사람의 얼굴에서만 볼 수 있는 빛이었다. 사랑에 빠진 상대가 당신을 황홀한 듯 바라볼 때 당신의 눈동자에 비치는 그 빛. 터무니없는 열망과 불안, 기대가 뒤섞인.” (단편소설 ‘빛이 다가올 때’ 중)

 

‘빛의 소설가’라 불리는 백수린 작가가 네 번째 소설집 ‘봄밤의 모든 것’을 출간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집필한 일곱 편의 단편 소설을 묶은 이번 신간은 아름답고 설레는 사랑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아픔과 슬픔의 순간을 관조하는 이야기들을 담았다.

 

책의 화자들은 저마다 커다란 상실을 하나씩 품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가까워야 할 존재인 딸과의 갈등, 죽음으로 다시는 볼 수 없는 가족과 이웃, 각자의 삶 때문에 자연스럽게 멀어진 친구, 사랑했던 애인과의 이별 등이다. 소설집 후반부에는 ‘호우豪雨’, ‘눈이 내리네’, ‘그것은 무엇이었을까?’ 등 세 편을 연작소설의 형태로 재구성해 소설집 전체를 관통하는 ‘상실감’을 더욱 깊이 있게 그려냈다.

 

백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우리의 삶이, 이 세계가, 겨울의 한복판이라도 우리는 봄을 기다리기로 선택할 수 있다”고 했다. 새로움에 대한 기대가 없는 나날 속에 놓인 화자들에게 한 줌의 빛이 닿는 순간을 포착한 일곱 편의 이야기는 부서질 듯한 마음에 온기가 깃든 ‘봄밤의 모든 것’을 건넨다.

 

■ 3월의 마치

 

‘3월의 마치’ (문학동네 刊)
‘3월의 마치’ (문학동네 刊)

 

정현아 작가가 8년 만에 장편 소설 ‘3월의 마치’로 돌아왔다.

 

2005년 대산대학문학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이름을 알린 정 작가는 ‘달의 바다’, ‘나를 위해 웃다’, ‘리틀 시카고’ 등으로 소설가로서의 입지를 다진 뒤 2017년 펴낸 ‘친밀한 이방인’이 드라마 ‘안나’로 제작되면서 대중에게 더욱 알려졌다.

 

최근에 발간된 ‘3월의 마치’는 노년에 접어든 여배우 ‘이마치’가 잃어가는 기억을 되찾는 여정을 통해 불행한 기억을 간직하는 것과 망각하는 것에 대해 생각하며 자기 치유로 나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갑작스러운 기억력 감퇴로 은퇴한 이마치는 뇌 의학 클리닉을 찾아가 자신의 기억을 기반으로 맞춤 제작한 가상현실(VR)로 들어가게 된다. 무관심한 아버지, 두 딸을 방치한 채 떠나버린 어머니, 병으로 죽은 언니 등 이마치가 VR로 마주한 과거는 온통 잊고 싶은 기억 뿐이다.

 

특히 아들 정민을 잃어버린 일은 가장 큰 불행이었다. 이마치는 VR 속에서 가상의 아들과 만나며 현실로 돌아가지 않고 싶다고 생각한다. 반면 아들은 이마치에게 ‘모든 기억을 놓아버리라’고 하는데, 기억을 간직하려는 이마치의 몸부림과 망각을 권하는 아들의 모습이 선명히 대비된다.

 

고통스러운 기억까지 간직하는 것, 상실의 아픔을 망각으로 막아내는 것 중 어떤 것이 해피엔딩일까. 책은 행복과 불행에 대한 고정관념을 벗어던지도록 유도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