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뮴과 폐수 유출 등으로 낙동강을 오염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쇄 및 이전을 촉구하는 국회 토론회가 열린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환경운동연합, 영풍제련소 주변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는 오는 26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영풍석포제련소 폐쇄·이전과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경북 봉화군 석포면,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한 대형 아연 제련소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수은과 카드뮴 등 중금속을 지속적으로 낙동강에 유출해 '환경파괴의 주범', '낙동강 핵심 오염원'이라는 오명을 들어왔다. 특히 지난달부터는 낙동강 폐수 유출로 인해 58일간 조업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다.
토론회에서는 김정수 환경안전건강연구소 소장과 권호장 단국대학교 교수가 제련소 주변 환경 피해 원인과 주민 건강 피해 실태 및 구제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김수동 공동대책위원회 상임대표가 좌장을 맡아 맹학균 환경부 통합허가제도과 과장,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부산지역 대표, 유종준 충남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윤경효 지속가능센터 이사, 지현영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등이 제련소 환경오염 문제 해결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강득구 의원 등 국회 관계자와 환경단체 관계자들도 참석한다.
영풍 석포제련소의 환경오염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수질 오염과 인근 지역 주민의 건강 문제는 물론, 1천300만 영남권 주민의 식수원인 낙동강의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 수년째 제기돼왔다.
실제로 영풍은 환경오염 관련 법 위반으로 지속적인 제재를 받고 있다. 지난 2021년 11월, 처음으로 열흘간 조업정지를 받았고, 이후 2024년 2월26일부터는 폐수 유출로 인한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58일간 조업이 중단됐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 11월에는 황산가스 감지기를 끈 채 조업을 계속한 사실이 드러나 10일간 추가 조업정지 처분을 받아 총 68일간 공장이 멈췄다.
카드뮴 배출 문제도 여전히 심각하다. 지난해 10월 공기 중 카드뮴 유출로 환경당국의 제재를 받았고, 같은 해 국정감사에서는 장형진 영풍 고문이 카드뮴 유출과 중대재해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태도로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환경오염 논란과 각종 제재에도 불구하고 영풍 측은 본질적인 개선보다는 행정소송 등 법적 대응과 미봉책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일각에서는 책임 회피와 시간 끌기로 일관하는 태도에 대해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정의로운 전환을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