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범위에서 충분히 보완 가능 출제 연계 수준은 50% 유지
올해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수능)은 11월13일 치러지며, EBS 연계율은 50% 수준이고 ‘킬러문항’은 배제 기조가 이어진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응시 과목은 지난해와 같이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제2외국어/한문 영역으로 구성되며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체제로 치러진다.
수험생들은 국어 영역에서 공통과목인 독서, 문학 외에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하나를 골라 응시해야 하고 수학 영역에서는 공통과목인 수학 Ⅰ·Ⅱ와 함께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하나를 선택한다.
한국사 영역은 올해도 필수로 지정돼 모든 수험생은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 미응시자는 ‘무효 처리’돼 수능 성적표를 아예 제공하지 않는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사회·과학 구분 없이 17개 선택과목 가운데 최대 2개를, 직업탐구 영역은 6개 과목 중 최대 2개를 선택할 수 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9개 과목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수능 EBS 연계율은 예년처럼 50% 수준을 유지하되, 교재에 있는 그림과 도표, 지문 등의 자료가 간접 활용된다.
평가원은 올해 수능 역시 지난해처럼 ‘킬러문항’은 철저히 배제할 방침이다.
오승걸 평가위원장은 “공교육 범위 내에서 적정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출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