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개선 효과 있는 소재 ‘금 나노입자’ 발견…기억력 향상 효과 입증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동연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천연물과 금 나노 기술을 결합해 알츠하이머 치매 질환에 개선효과가 있는 후보물질을 발견했다. 경과원 제공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천연물과 금 나노 기술을 결합해 알츠하이머 치매 질환에 개선효과가 있는 후보물질을 발견했다. 경과원 제공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 연구팀이 천연물과 금 나노 기술을 결합해 알츠하이머 치매 질환에 개선효과가 있는 후보물질을 발견했다.

 

경과원은 지난해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한 ‘2024년 국내외 천연물 및 합성물 소재개발 사업’ 연구 성과를 18일 발표했다.

 

최춘환 경과원 박사(바이오 연구개발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AuNP)가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해 기존에 생산성이 낮았던 천연 화합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주목했다.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가 아프젤린의 효능을 극대화해 신경 보호 효과를 증가시키는 약물 운반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확인했다. 금 나노입자(AuNP)의 이 같은 특별한 성질은 한약재인 칠해목에서 얻은 천연 성분 아프젤린을 결합해 알츠하이머 치료 효과를 높였다. 또 금 나노 기술이 해마의 콜린성 시스템을 회복시키고 신경전달물질의 활성을 증가시켜 인지능을 개선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천연물 유래 알츠하이머 치료물질의 한계를 극복, 혁신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과원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향후 특허 출원, 기술이전 및 상용화 등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