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이 된 우려…개학과 동시에 늘봄학교 운영 삐거덕

대면 인계·동행 귀가 등 추가 적용, 급조 대책·인력난 ‘일반 교사’ 투입
업무 가중 악영향 ‘수업의 질’ 저하 “늘봄 인력 확충, 부담 해소 나서야”

기사와 관련없는 사진. 이미지투데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와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대전 초등생 피살 사건 후속 대책으로 교육부가 늘봄학교 안전 강화를 추진한 가운데, 경기도내 학교 곳곳에서 업무 과중에 따른 운영 난맥상을 호소하고 있다.

 

애초부터 부족한 인력에 학부모 대면 인계, 동행 귀가 규정이 추가되면서 돌봄 전담 교사를 넘어 일반 교사에까지 늘봄 업무가 번지고 있기 때문인데, 전문가들은 늘어난 업무에 상응하는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10일 경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교육부는 새 학기 개학에 맞춰 늘봄학교에 ▲학생 귀가 시 전담 인력 동행 ▲학부모 대면 인계 ▲학부모가 학교를 방문해 학생을 데려가는 ‘동행 귀가’를 새로 적용했다.

 

이는 지난달 10일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생 피살사건 이후 늘봄학교 안전 강화를 위한 후속 조치로, 교육부는 이에 필요한 추가 인력 확충 및 세부 매뉴얼을 정립하고 있다.

 

하지만 늘봄학교를 운영 중인 도내 초등학교 사이에서는 대책이 급조된 탓에 관련 인력이나 매뉴얼 보강 없이 업무량만 가중, 늘봄학교 운영 자체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수원의 A초등학교는 학부모 인계, 학생 동행 귀가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하교시간대에는 학생 통제가 불가능해져 교사가 직접 학생을 찾아 헤매거나 안내 방송을 반복하는 실정이다.

 

해당 학교 B교사는 “학생과 학부모 일정이 제각기 다른 탓에 교사 한 명이 학생 한 명을 전담하면 나머지 학생 일정 지연이 불가피하다”며 “특히 인계 대상 학부모가 약속된 시간에 오지 않으면 이후 학생들의 일정이 밀리며 통제가 어려운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상황이 이렇자 교사단체들은 돌봄 전담 교사가 아닌 일반 교사에게까지 대면 인계 업무가 전가되고 있어 업무가 과중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김희정 경기교사노조 대변인은 “도내 학교 곳곳에서 일반 교사들이 인계 및 귀가 업무라는 예상치 못한 늘봄 업무를 맡고 있다”며 “해당 교사들은 다음 날 수업 준비를 못 하게 돼 고스란히 수업의 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조상식 동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교 안전 강화를 위해 교육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는 상황이 발생 중”이라며 “교육 당국은 적기에 늘봄 인력을 확충하는 등 현장 교사 업무 부담 경감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