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2.0% 상승 일부 품목의 물가 흐름이 체감 물가와 다소 차이나기도
지난달 전국 소비자물가가 2.0%를 기록했다. 1월에 이어 2개월째 연속 2%대의 흐름이다.
원·달러 환율이 1천400원대 중반으로 오르며 수입 물가가 상승했고,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 압박이 커진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08(2020년=100)로, 전월(115.71)에 비해 0.3% 상승했고, 전년 동기 대비 2.0%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부터 연말까지 1%대를 유지하다 올해 1월 2.2%로 2%대를 넘어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 상승률은 전년 대비 1.8%였다.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도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9% 올랐다. 다만 1월(2.0%)보다는 둔화했다.
서비스 물가는 여전히 불안정한 양상을 보였다.
품목별로 전년동월비 외식 물가는 3.0%, 외식을 제외한 물가는 2.9% 상승하며 전체 물가를 각각 0.43%포인트, 0.57%포인트 끌어올렸다.
또 석유류(6.3%)와 가공식품(2.9%)이 각각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에 0.24%포인트씩 영향을 줬다.
이에 대해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원재료비와 인건비 상승으로 외식 물가는 기본적으로 오를 수밖에 없다”면서도 “일부 업체가 가격을 차등 적용하는 경우도 있어 이런 요인이 반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이 2.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월(3.2%) 이후 최고치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6%로, 지난해 7월(3.0%) 이후 가장 높았다.
다만 생선·채소·과일 등을 포함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 하락하며 2022년 3월(-2.1%) 이후 2년여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과일 가격이 5.4% 떨어졌다.
농산물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하락했지만, 축산물(3.8%)과 수산물(3.6%)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올랐다.
다만 통계적 기저효과로 인해 일부 품목의 물가 흐름이 체감 물가와 다소 차이가 나는 모습도 보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