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네트 밀러-믹스(Marianette Miller-Meeks) 미국 연방 하원의원이 미국 상무부에 서한을 보내 MBK 파트너스의 고려아연 적대적 M&A 시도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투자를 받은 MBK가 세계 최대 제련 기업인 고려아연을 인수하면, 광물·자원 분야에서 중국의 통제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며, 정부와 의회가 협력해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화당 소속인 밀러-믹스 의원은 아이오와주(州) 지역구를 둔 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현재 미 하원 에너지 및 상업위원회 소속이며, 'Conservative Climate Caucus' 의장을 맡고 있다.
5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 다이앤 패럴(Diane Farrell) 국제무역 담당 차관보에게 서한을 보내 "최근 중국과 연결된 기업들이 MBK를 통해 세계 최대 비철금속 제련 기업인 고려아연의 지배권을 확보하려 한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비철금속 제련 산업은 중국의 영향력이 큰 분야로, 고려아연은 중국이 수출 통제를 한 핵심 광물의 공급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이 수출 통제한 안티모니,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 등은 미국의 안보와 직결되는 반도체, 재생 에너지, 방위 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광물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동맹국과 함께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밀러-믹스 의원은 이 과정에서 고려아연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고려아연은 중국이 수출 통제한 핵심 광물인 안티모니,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을 생산하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티모니, 비스무트, 텔루륨을 제조하고 있다. 안티모니는 방위 및 항공우주 산업의 핵심 소재로, 연간 약 3천500톤을 생산해 국내 수요를 전량 충당하고 있다. 인듐은 반도체와 전자부품에 사용되며, 연간 90톤 이상 생산해 세계 시장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비스무트는 전 세계 생산량의 6%, 텔루륨은 17.5%를 담당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핵심 광물을 다수 생산하는 고려아연이 중국의 투자를 받은 MBK에 인수될 경우, 미국의 탈중국 공급망 전략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밀러-믹스 의원을 포함한 미국 정치권의 우려다. MBK는 현재 펀드 6호를 통해 고려아연 인수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 펀드에는 중국 외환투자공사(CIC)가 출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밀러-믹스 의원은 "MBK의 고려아연 적대적 M&A가 성공하면 공급망 문제가 심화되고, 기술 유출 위험이 증가하며, 미국 산업과 방위 역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미국 상무부는 이 사안을 면밀히 검토하고, 의회 및 정부가 협력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차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미국 정치권에서는 MBK의 고려아연 인수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잭 넌(Zach Nunn) 하원의원은 지난달 패럴 차관보에게 서한을 보내 "중국이 MBK를 통해 고려아연을 장악하면 핵심 광물 공급망에서 중국의 통제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공화당 원로 정치인 빈 웨버(Vin Weber) 전 하원의원은 제프리 파이어트(Geoffrey Pyatt) 국무부 에너지자원 차관보에게 서한을 보내 "MBK가 고려아연 경영권을 확보하면 중국 기업들로의 광범위한 기술 이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미국과 한국이 협력해 구축하는 탈중국 공급망 전략을 위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로버트 오브라이언(Robert O’Brien)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에릭 스왈웰(Eric Swalwell) 미국 의회 핵심 광물 협의체 공동의장 겸 연방 하원의원 등도 고려아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MBK의 적대적 M&A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