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와 정상회담 중 '안전보장 요구, 푸틴 비난'에 '설전' 러-우크라 종전 압박...'군사 지원 중단'도 시사 젤렌스키 "대통령과 미국민 존경"...사태 진화에도 '사과'는 거부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정상회담이 설전으로 끝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은 계속 싸우고 싶어 하는 사람이지만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정상회담 후 백악관에서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로 가기 전 백악관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즉각적인 휴전을 원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즉각적인 휴전"을 원하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면서 "그는 '파이트(fight), 파이트, 파이트'를 추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우리가 전쟁을 끝내거나 아니면 그(젤렌스키)가 끝까지 싸워야한다"면서 "그가 끝까지 싸운다면 그는 미국의 지지를 잃을 것이고 우크라이나는 패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 군사지원을 중단할 것이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내가 뭘 고려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며 "여러분들도 오늘 내가 본 것을 봤지 않느냐"며 젤렌스키 대통령의 태도 문제를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해 "그가 푸틴에 대해 온갖 부정적인 이야기를 할 필요가 없었다"며 "평화를 이루길 원한다고 말했어야 했다"고도 했다.
그는 특히 "그에게는 카드가 없다"고 지적한 뒤 "우리는 계속 싸우지 않을 것"이라며 "전쟁을 끝내지 않으면 그들은 끝까지 싸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가 종전 협상에 응하지 않을 경우, 미국이 지원을 끊을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되는 발언이다. 이와 관련,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모든 대우크라이나 군사지원 물자 수송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행정부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앞서 미국이 요구한 광물 협정에 서명하기 위한 미국을 방문한 볼라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정상회담을 가졌다.
언론에 공개된 회담장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협정 체결 시 러시아의 재침공을 막기 위한 안전 보장 조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사실상 미국이 요구하는 대로 협정을 체결하지 않을 경우 협상에서 빠지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푸틴 대통령을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하자 트럼프 대통령과 J.D. 밴스 부통령은 "고마움을 모르고 무례하다"며 계속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일정을 조기 종료했고 오찬을 겸한 후속 회담과 공동 기자회견, 광물 협정 서명도 불발됐다.
한편 젤렌스키 대통령은 정상회담이 파행으로 끝난 뒤 폭스뉴스 앵커 브렛 베이어와 가진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민을 존경한다"며 사태 진화에 나섰지만 사과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지원 없이는 러시아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며 "그것이 이곳에 온 이유이자 미래의 협상에 관해 이야기하는 이유"라고 했다. 그는 이어 "이런 상황은 양측 모두에게 좋지 않다"며 "미국 파트너를 잃고 싶지 않다"고 더붙였다.
그러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사과를 거부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과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매우 정직해야 한다. 우리가 나쁜 짓을 했는지 잘 모르겠다"면서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에 대한 태도는 한치도 바꿀 수 없다. 안전보장이 있기 전에는 평화 회담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