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헌재 ‘마은혁 불임명 위헌’ 결정에 “임명 안 돼” vs “즉각 임명”

여 권성동 “헌재, 다수당 의회 독재 용인”
야 박찬대 “최상목, 의무 저버린 책임 져야”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 김형두 헌법재판관이 2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마은혁 임명보류' 권한쟁의 선고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왼쪽), 김형두 헌법재판관이 27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마은혁 임명보류' 권한쟁의 선고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행위가 국회의 권한을 침해한 것이라고 판단을 내린 데 대해 여야가 서로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헌재의 결정과는 별개로, 마 후보자 임명 여부는 최 대행의 손에 달려서다.

 

먼저 국민의힘은 헌재를 향해 강한 유감을 표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27일 서울 서초구 청계재단에서 취재진과 만나 “국회의 오랜 관행이 헌법재판관은 여야합의로 추천하는 것이었는데, 마 후보자의 경우 추천서 내용에 더불어민주당만 들어가 있다”며 “민주당이 단독으로 추천한 재판관이 임명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뒤 취재진과 만나 “헌재가 다수당의 의회 독재를 용인한 꼴이다. 유감을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며 “헌재가 헌법재판관 임명에 관한 국회의 오랜 관행에 대해서는 판단하지 않고 헌법적 다수결 원리만 인용한 것은 ‘헌재다움’을 포기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야합의가 없는 한 마 후보자를 임명해서는 안 된다”며 “헌재의 결정에 의해서라도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마 후보자 임명을 강제할 권한이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민주당은 최 대행을 향해 마 후보자에 대한 즉각적인 임명과 사과를 요구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최 대행은 헌법과 상식에 따라 당연히 해야 할 의무를 저버린 책임을 져야 하지 않겠느냐”며 “국회 권한을 침해하고 헌법에 반하는 행위를 한 것에 대해 국민에게 사죄하고 즉시 마 후보자를 임명하라”고 압박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헌재의 결정은 국회의 결정을 멋대로 재단하고 무시했던 최 대행 체제에 대한 경종”이라며 “최 대행은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하고 마 후보자를 즉시 임명해야 한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