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1면에 경기도의회 의장 개회사, 교섭단체 양당 대표 연설이 실리지 않으면 홍보비 집행을 제한하라”고 발언해 논란이 된 양우식 도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비례) 사태와 관련,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이 왜곡된 입장문까지 낸 양 위원장의 사퇴를 재차 촉구했다.
도의회 출입기자단 11개사(경기신문 경기일보 경인방송 경인일보 기호일보 뉴스1 뉴시스 연합뉴스 인천일보 중부일보 OBS)는 26일 두 번째 성명서를 통해 “공식 석상에서 자신이 한 발언조차 책임지지 않고 뻔뻔한 태도로 왜곡만 일삼는 양우식 운영위원장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도의회 운영위원장으로서 지난 의회 사무처 업무보고에서의 발언이 사실관계, 왜곡여부와 무관하게 논란이 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는 양 위원장의 입장문은 적반하장”이라며 “논점을 흐리고 물타기할 게 아니라 사실관계가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틀렸는지, 왜곡된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왜곡됐는지 상세하게 설명하라”고 했다.
그러면서 “생중계되는 운영위원회 업무보고 중 발언이며 의회 홈페이지 영상회의록을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잇고, 그 영상은 ‘충격적 발언’이라는 부연과 함께 도의회 관계자들에게 아직도 전파되고 있다”며 “'전후관계를 생략하고 문제삼는 것은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라는 양 위원장의 말도 왜곡이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된 발언 직전 양 위원장과 임채호 사무처장 사이 오간 대화 자체가 해당 내용과는 무관해 전후 관계를 따질 게 없다는 주장이다.
출입기자단은 논란이 된 발언(“회기 중에 의장님의 개회사, 양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익일 언론사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 제한하십시오.”)을 재차 인용한 뒤 “언론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나온 오만하고 언론 탄압적인 발언에 어떤 전후관계가 있나”라며 “특정 보도를 요청하고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주겠다는 양 의원의 발언은 명백한 언론 자유 침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도의회 출입기자단은 그동안 대표의원들의 연설은 물론 의장 개회사가 각 언론사 홈페이지에 고스란히 남아있다고 알리면서 “결국 본인 입맛에 맞는 기사가 나가지 않은 것을 운영위원장이란 직위를 이용해 ‘도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핑계를 대며 언론에 제갈을 물리려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도의회 출입기자단은 또 양 위원장이 논란 이후 사무처에 자신이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는 자료를 모아오라고 지시한 점도 함께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심으로 이번 논란이 확산되지 않길 바란다면 제대로 된 해명 없이 궁색한 변명만 늘어놓을 게 아니라 당장 그 자리에서 사퇴하라”고 했다.
다음은 도의회 출입기자단의 성명서 전문.
<성명서>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은 공식 석상에서 자신이 한 발언조차 책임지지 않고 뻔뻔한 태도로 왜곡만 일삼는 양우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 비례)을 규탄한다.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으로서 지난 의회사무처 업무보고에서의 발언이 사실관계, 왜곡여부와 무관하게 논란이 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
전날 양우식 의원이 낸 입장문이다. 적반하장도 유분수라 했다. 오히려 이 입장문이 사실관계와 무관한, 유감스러운 왜곡이다. 논점을 흐리고 물타기할 게 아니라 사실관계가 틀린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틀렸는지, 왜곡된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 왜곡됐는지 상세하게 설명하라.
생중계되는 의회운영위원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한 발언이다. 의회 홈페이지 영상회의록을 통해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그 영상은 '충격적 발언'이라는 부연과 함께 경기도의회 관계자들에게 아직도 전파되고 있다.
"전후관계를 생략하고 문제 삼는 것은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라는 양 의원의 말 또한 말 그대로 왜곡이다. 논란이 된 '1면 발언' 직전 양 의원과 임채호 사무처장의 대화는 이와 전혀 관련 없는 내용이었다.
"회기 중에 의장님의 개회사, 양당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익일 언론사 1면에 실리지 않으면 그 언론사 홍보비 제한하십시오."
언론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나온 오만하고 언론 탄압적인 발언에 어떤 전후 관계가 있었나. 특정 보도를 요청하고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주겠다는 양 의원의 발언은 명백한 언론 자유 침해다.
도의회 출입기자단은 그동안 의장과 양당 대표를 비롯한 154명의 의정활동을 도민에게 알리고, 지방자치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언론의 역할을 다해왔다.
양 의원은 대표의원 연설과 의장의 개회사가 보도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각 언론사 홈페이지에는 관련 보도가 고스란히 남아있다. 왜 마치 언론사들이 일제히 보도하지 않은 것인 양 몰아가는가.
결국 본인 입맛에 맞는 기사가 나가지 않은 것을 운영위원장이란 직위를 이용해 '도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핑계를 대며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것 아닌가.
양 의원은 입장문에서 '운영위원장으로서 더욱 공정하고 투명한 언론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나가겠다'고 했다.
그래서 각 언론사의 홍보비 집행내역을 가져오라고 직원들을 다그치고, 자신이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는 자료를 모아오라고 사무처에 지시했나.
또다시 그동안 했던 것처럼 도민 혈세인 홍보비를 이용해 언론을 탄압하고, 입맛대로 주무르기 위한 것 아닌가.
이번 사태 이후 경기도의회 의장과 사무처장, 심지어 같은 당인 국민의힘 대표의원까지 사과의 뜻을 밝혔음에도 정작 당사자인 본인은 적반하장 태도로 뻔뻔함을 유지하고 있다.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은 도민의 선택을 받지 않은 채 국민의힘의 선택으로 연고도 없는 경기도에 와 언론을 사유화하려하는 비례대표 운영위원장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
양 의원은 언론 고유의 감시자 역할을 붕괴시키려는 초유의 사태에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
양 의원이 진심으로 이번 논란이 확산되지 않길 바란다면 제대로 된 해명 없이 궁색한 변명만 늘어놓을 게 아니라 당장 그 자리에서 사퇴하라.
경기도의회 출입기자단 일동
(경기신문 경기일보 경인방송 경인일보 기호일보 뉴스1 뉴시스 연합뉴스 인천일보 중부일보 OBS)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