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다 금메달과 메달 획득·최고점 경신으로 사상 유례없는 대기록 작성 선수단 노력·유관기관 지원·도민 성원 결과…부족한 부분 보완해 정상 수성
“역대 최다 금메달과 최고득점 경신을 통해 도민께 약속드린 종합우승 22연패 달성을 이루게 돼 더 없이 기쁩니다. 경기체육의 끊임없는 발전과 열정을 보여준 쾌거라 생각합니다.”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서 역대 최다 금메달을 비롯, 최다 메달 획득과 최고점을 경신하며 대회 사상 전무후무한 22연패 달성을 이끈 경기도 선수단장인 이원성 도체육회장은 도전과 열정으로 한계를 뛰어넘은 선수단의 노력과 도민 성원이 어우러져 이뤄낸 결과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동계체전의 새 역사를 쓰며 22연패를 이룬 것은 끝까지 최선을 다해준 선수·지도자와 종목단체 관계자들의 노력 덕분이다.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김동연 지사님과 황대호 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을 비롯, 1천415만 도민의 성원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22연패 원동력에 대해 이 회장은 “종목 21연패를 달성한 빙상과 7연패의 컬링, 첫 2연패를 이룬 바이애슬론, 15년 만에 정상을 되찾은 스키 등 전통적인 강세 종목의 선전이 두드러졌다”며 “오랜 우승으로 자칫 자만하거나 소홀해질 수 있는 부분을 차단하고, 세심한 분석을 통한 전략 수립과 적극적인 훈련지원에 노력을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회장은 “지난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서 대한민국의 2회 연속 종합 2위에 기여했던 쇼트트랙의 최민정, 김길리, 장성우, 스피드스케이팅의 김민선, 피겨스케팅의 김채연 등 빙상 스타들이 사전경기로 인해 본 대회에서 국민들에게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일부 세부 종목의 경우 선수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고등부 아이스하키 팀과 남자 일반부 컬링 실업팀 부재 등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다”면서 “빙상 뿐만 아니라 설상 종목 등에서 프랜차이즈 스타를 육성하기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 맞춤형 지원책을 강구토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 회장은 정상 수성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저변이 취약한 종목의 활성화를 위해 도교육청, 시·군체육회, 종목단체와 긴밀한 협조로 팀 창단 유도와 우수선수 육성·영입에도 힘쓸 계획이다”라며 “더불어 지난 2005년 이후 중단된 경기도 동계체육대회를 올해부터 부활시켜 동계 종목의 붐업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