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만 한국 다시 찾은 이탈리아 대표 앙상블 국내 4개 도시 공연…수원서 성황리 마무리 한국 가곡 앙코르에 객석 열띤 호응 보내기도
18세기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음악가들이 선보인 무대는 21세기 한국의 관객들에게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느껴지는 깊은 울림과 따뜻한 감동을 전했다.
지난 18일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에서 수원문화재단의 2025 신년 음악회 ‘이 무지치 베네치아니’ 내한 공연은 90분 동안 로시니, 베르디, 푸치니 등 이탈리아 거장의 작품을 중심으로 구성된 18세기 오페라의 황금기를 재현하는 갈라 콘서트를 펼쳤다.
화려한 궁정 의상과 원숙한 앙상블, 재치 있는 표정 연기는 눈과 귀를 사로잡았다. 무엇보다 앙코르 무대에서 보여준 진심 어린 무대 매너는 관객에게 전달되며 잊지 못할 추억을 선물했다. 300년 전 베네치아의 화려한 연회에 대한 궁금증과 호기심은 감동으로 변했고, 이들이 선보인 연주는 바로크 음악을 보다 친숙하고 가깝게 느끼도록 만들었다.
막이 오르기 직전, 관객들의 얼굴은 호기심의 들뜬 표정으로 한껏 상기돼 있었다. 평일 저녁 시간대임에도 불구하고 900석가량 꽉 찬 객석에는 베네치아 귀족 연회장을 어떻게 재현했을지에 대한 기대감이 느껴졌다. 이윽고 등장한 오케스트라의 눈을 사로잡는 복장에 객석은 등장만으로도 즐거움에 박수를 보냈다.
이날 관객에게 가장 큰 사랑을 받은 이는 뛰어난 표정 연기와 능숙한 무대 매너를 보여준 소프라노 산드라 포스키아토였다. 특히 로시니의 희극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Il Barbiere di Siviglia) 제1막에서 여주인공 로지나가 알마비바 백작이자 가난한 청년 린도로가 보낸 편지를 읽고, 그에 대한 사랑의 의지를 드러내며 부르는 아리아 ‘방금 들린 그대 음성’(Una voce poco fa)은 천장을 찌를 듯한 화려한 성악 기교가 돋보였다.
“시간 좀 내주오~ 갈 데가 있소!”
바로 이어진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Rigoletto) 제3막에서 바람둥이 만토바 공작이 부르는 곡 ‘여자의 마음’(La donna è mobile)은 소프라노와 테너 두 남녀가 보여준 코믹한 연기가 객석을 웃음 짓게 했다. 경쾌한 왈츠풍의 리듬과 우리에겐 ‘갈대’라는 단어를 재치 있게 활용한 광고 음악으로 친숙한 작품은 현장에 밝은 분위기를 더했다.
본 공연에서 가장 열띤 호응을 이끌었던 넘버 중 하나는 오페라 장르를 대표하는 작품 푸치니의 ‘투란도트’(Turandot) 가운데 ‘공주는 잠 못 이루고’(Nessun dorma)였다. “사라져라, 밤이여. 지거라, 별들이여. 해가 뜨면 승리하리라!”를 외치는 곡은 제3막에서 칼라프 왕자가 투란도트의 수수께끼를 모두 맞히고 승리에 대한 확신과 사랑의 결연함이 담긴 아리아로 ‘승리하리라’를 외치는 테너의 깊은 울림과 묵직한 감동이 매력이다. 절정으로 향하는 테너의 독창은 관객들의 손에 땀을 쥐게 했고, 끝내 외치는 승리는 객석에서 ‘브라보’를 외치게 했다.
이날 공연의 하이라이트는 19곡의 알찬 무대가 끝난 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4곡의 앙코르 무대였다.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멀리 이탈리아에서 건너온, 18세기 화려한 궁정 의상과 가발을 착용한 베네치아의 음악가가 뱉은 첫 마디에 객석은 술렁이기 시작했다. 예상치 못한 한국어가 들려오자 깜짝 놀랐던 얼굴들은 이내 감동의 표정으로 변했다.
‘엄마야 누나야’에 이어 ‘그리운 금강산’이 시작되자 머리가 희끗한 한 중장년의 관객은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지난 2018년 이후 7년 만에 한국을 찾은 ‘이 무지치 베네치아니’는 이달 충남, 부산, 경남 등 국내 4개 도시에서 내한 공연을 펼치며 한국 관객을 위해 가곡의 무대를 선보였다.
특히 4개 도시의 투어 일정의 마무리가 된 수원에서 이들은 ‘그리운 금강산’을 앙코르 무대에 추가로 선보이며 이곳의 관객에게 특별한 선물을 전했다. “누구의 주제런가 맑고 고운 산” 한국 관객들을 위해 조심스럽게 한 마디 한 마디 가슴에 손을 하나 얹은 채 부르는 소프라노의 모습은 특별한 말 없이도 관객에게 전달돼 깊은 여운을 남겼다. 객석은 두 팔 벌려 환호와 오랫동안 박수갈채를 보내며 화답했고 이 무지치 베네치아니의 마무리 인사는 한동안 계속됐다.
● 관련기사 : “세계적인 바로크 앙상블... ‘이 무지치 베네치아니’ 아니?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120580136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