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오는 2026년도 국비 목표액 6조5천억원 달성을 위해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시는 20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하병필 행정부시장과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 공동 주재로 ‘글로벌 톱텐(TOP 10) 시티, 인천’ 실현을 위한 2026년도 국비 확보 보고회를 했다.
시는 전년도 목표 대비 3천100억원을 증액, 국고보조사업 5조6천억원과 보통교부세 9천억원 등 총 6조5천억원 이상의 국비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이날 보고한 2026년 신규사업은 모두 26개로, 국비 2천409억원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문화산단 조성(68억원), 인천형 출산정책 ‘아이(i) 플러스 1억드림’ 국가정책 전환(820억원), K-패스 환급금 지원 기준 변경(233억원) 등이다. 이 밖에 인천 소상공인 반값택배 지원(42억원), 북한 소음방송 피해 지원(130억원), 지역암센터 장비비 지원(12억원) 등도 포함했다.
시는 또 주요 현안사업 53건에 대한 총 1조363억원의 국비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1천605억원), 인천발 KTX(500억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2천826억원), 인천신항 진입도로 지하차도 건설(74억원), 부평·주안 국가산업단지 재생(44억원) 등이다.
시는 정부 예산 추경 편성이 가시화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15건, 총 628억원의 국비 확보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 행사(17억원), 2025 APEC 국제회의 인프라 개선(16억원), 수소버스 공차 운행 연료비 지원(12억원), 경인고속도로 연장 및 지하화(10억원) 등이 주요 사업이다.
시는 2026년도 국비 확보 매뉴얼을 제작·배포해 정부 예산 편성 과정부터 국회 예산심의까지 단계별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하 부시장은 “대내외적 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지방재정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앙부처 및 지역 국회의원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확대해 2025년 추경 및 2026년 국비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